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뉴스
"
생물학
"(으)로 총 2,323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자생 엉겅퀴서 '위암 종양 성장 조절' 천연물질 찾았다
연합뉴스
l
2024.03.26
개발을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분자 및 세포
생물학
연구 분야 국제 학술지인 'Molecular Biology Reports'에 실렸다. ...
메기의 끈적한 점액, 항생제 내성균 신약 단서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23~26일 미국 샌안토니오에서 열리는 '미국 생화학 및 분자
생물학
학회'에서 발표한다. 연구팀은 메기의 몸을 뒤덮고 있는 끈적끈적한 점액이 감염으로부터 메기를 보호하는 것에 주목했다.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강한 균도 퇴치하는 점액의 성분은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 ...
"출산 후 여성
생물학
적 나이 젊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회복 효과가 단기 또는 장기적으로 산모 건강 결과와 관련이 있는지, 단순히 임신 전
생물학
적 연령으로 회복하는 시스템인지 등을 분석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 자가포식 단백질 'LC3B', 유전체 손상 복구 능력 최초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레이저 마이크로 조사 시스템과 분자
생물학
적 실험방법을 통해 LC3B가 핵 내 DNA-RNA 하이브리드와 상호작용을 통해 유전자 손상으로 인한 오류를 복구해 유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유전체 손상은 암을 ... ...
나일론 필수원료, 미생물로 생산…화학연, 세포공장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화학연 원장은 “이번 성과는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첨단바이오 분야의 핵심인 합성
생물학
기술을 통해 확보된 바이오 아디프산 생산 맞춤형 미생물 세포공장 기술”이라며 “바이오소재 생산 원천기술 확보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리소스 ... ...
소라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
과학동아
l
2024.03.16
많은 집게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집으로 메고 다닐까. 폴란드 바르샤바대
생물학
부 진화
생물학
연구소의 주잔나 야기에워 연구원팀은 육지 집게의 약 3분의 2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쓰레기를 집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오브 더 토탈 ...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고통 치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두려움을 느낄 때가 있다. 니콜라스 C. 스피처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신경
생물학
과 교수 연구팀은 스트레스가 어떻게 두려움으로 변화하는지 분자 수준에서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15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뇌의 신경계는 공포를 감지할 수 있다. 동물이 으르렁거리는 ... ...
의료폐기물 소각장 안보내고 병원서 직접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처리에 따른 경비 부담이 컸다. 연구진이 이번에 개발한 의료폐기물 멸균장치는
생물학
적으로 유해한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고온, 고압으로 99.9999% 멸균한다. 138℃에서 10분 또는 145℃에서 5분 이상 처리해 멸균한다. 기존 개발된 의료폐기물 멸균 장치에서 걸리는 시간 대비 약33% 시간을 ... ...
꽃 피우는 식물, 개미 멸종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종 변화를 파악했다. 신
생물학
은 고
생물학
과 달리 멸종하지 않은 유기체를 다루는
생물학
분야다. 그 결과 원시 개미와 현대 개미는 약 2000만년 동안 공존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원시 개미들은 식물을 먹지 않거나 낫 같은 턱으로 바퀴벌레 같은 곤충을 잡는 '지옥 개미'처럼 특정 먹이에 대한 ... ...
AI 설계 단백질이
생물학
무기?…과학자들 첫 '오용 방지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알려진 스타트업 앤트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최고경영자(CEO)가 “악의적인 누군가가
생물학
무기를 개발하는 데 AI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정치권은 산업계와 학계에 ‘대책을 마련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AI로 유용한 단백질을 만드는 것처럼 해로운 단백질도 인위적으로 만들 수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