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누이
언니
누나
여동생
형제
동기
sister
뉴스
"
자매
"(으)로 총 548건 검색되었습니다.
50배 더 또렷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나온다
2015.05.25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빛의 파장을 선택해서 표시할 수 있다. - 서울대 제공 제공 TV나 컴퓨터용 모니터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을 ... 하는 광학소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과학저널 ‘네이처’
자매
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최신호에 게재됐다. ... ...
뇌 기능 모방해 생각 읽어내는 하드웨어
2015.05.12
때 발생하는 뇌파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하드웨어를 구현하는 데 성공하고 네이처
자매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병원에서 검사 목적으로 사람의 뇌파를 측정하는 경우 뇌파 측정 장치에서 수신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뒤 컴퓨터를 이용해서 특징을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다른 고세균보다 진핵생물과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즉 로키아케오타와 진핵생물이
자매
분류군이란 말이다. ● 키는 식세포작용하는 원핵생물? 한편 게놈 대부분이 해독된 로키아케움의 데이터를 면밀히 조사하자 흥미로운 사실이 드러났다. 로키아케움 게놈에서 단백질 유전자는 5381개로 ... ...
우리 뇌는 ‘투명인간’을 받아들일 수 있나
2015.04.26
박사팀은 자신이 투명해졌다고 느낄 때 일어나는 반응에 대해 ‘네이처’ 온라인
자매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3일자에 발표했다. 사람들은 자신의 몸이 투명해졌음을 받아들일 수 있음은 물론, 투명인간인 채로 낯선 사람들을 만났을 때 더 편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가상현실 ... ...
발암물질인 줄 알았더니 줄기세포 핵심 물질
2015.04.22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교신저자, 왼쪽)와 부경진 박사(제1 저자). - 서울대 제공 암 발생과 전이에 관여하고 특히 전립샘암을 일으키는 ...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일자에 실렸다 ... ...
면역세포도 ‘착한’ 미생물 편만 들어
2015.04.22
미생물의 자리 싸움에서 면역세포가 유용한 미생물 편을 든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셀’
자매
지 ‘면역학’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장내에 있는 면역세포가 장내에 평상시 살고 있는 미생물에게는 치명적이지 않지만 외부에서 침입하거나 낯선 미생물에게는 치명적인 물질을 분비한다는 ... ...
플라시보 효과 영향주는 유전자 ‘플라시봄(placebome)’
2015.04.14
티코네스병원 박사팀은 플라시보 효과를 일으키는 유전자 변이를 찾아내고 ‘셀’
자매
지 ‘트렌드 인 몰레큘러 메디슨(Trends in Molecular Medicine)’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플라시보와 관련된 유전자 변이를 많이 가진 사람일수록 플라시보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기분을 ... ...
위험감수 vs. 안정지향, 도파민이 결정한다
2015.04.12
연구진이 뇌 속에서 도파민이 위험감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규명해 ‘셀’의
자매
지 ‘뉴런’ 9일자에 발표했다. 살라사니 스리칸스 미국 솔크대 분자신경생물학 교수팀은 예쁜꼬마선충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예쁜꼬마선충이 가진 신경세포 302개는 동물행동과 신경계의 기초 ... ...
치사율 60%, 진균성 뇌수막염 유발 유전자 대거 발견
2015.04.08
일으키고 항진균제 내성에도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대규모로 발굴하고 ‘네이처’
자매
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일자에 발표했다. 진균성 뇌수막염은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며 중추신경계에 침범할 경우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0만 명 이상이 진균성 뇌수막염에 ... ...
그래핀 넣은 플라스틱 제조 레시피 나왔다
2015.03.30
LED) 부품 개발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6일자 게재됐다. 그래핀과 CBT 입자를 섞은 뒤 열을 가해주면 그래핀 입자가 고르게 분산된 그래핀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