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스페셜
"
세기
"(으)로 총 84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충돌위협 소행성 '베누' 대기권 진입할 땐 잘게 깨질 듯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6년에 한번씩 지구 곁을 스쳐지나가 지구와 충돌 위험이 큰 소행성으로 분류된다. 22
세기
말에는 2700분의 1 확률로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NASA는 2016년 베누 상태를 좀더 자세히 살피기 위해 탐사선 오시리스-렉스를 발사했다. 이 탐사선은 2018년 12월 베누에 도착한 뒤 현재 베누 주변을 돌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초파리,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해커
2020.10.08
실험방법론과 또한 실제로 물리학에서 생물학으로 이주한 물리학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20
세기
중반 빠르게 발전전해나갔다(미쉘 모랑쥬의 《분자생물학: 실험과 사유의 역사》를 참고할 것). 닐스 보어의 친구였던 막스 델브릭처럼 물리학자에서 생물학자로 전업한 과학자의 숫자는 점점 ... ...
'편집이냐 교정이냐'부터 ‘디자이너 베이비’까지…말 많은 유전자 가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않다는 주장을 하기에 이르렀다. 산업적으로는 특허 분쟁이 전세계에서 벌어졌다. ‘
세기
의 특허 전쟁’으로도 불린 미국 브로드연구소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사이의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특허 분쟁이다. 여기에는 올해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와 에마뉘엘 ... ...
현택환 교수 "한국도 노벨상 머지 않아…자율성 보장하고 꾸준히 지원해야"
2020.10.07
약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쓴소리도 잊지 않았다. 그는 “과학 강국 독일과 일본은 20
세기
가 되기 전부터 국가에서 연구비를 지원하고 연구소를 설립해 과학연구에 몰두해 왔다”며 “한국에서는 1990년대 초반부터 제대로 된 기초과학 지원이 시작된 만큼 시작 자체가 비교가 안 되게 늦었다”고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블랙홀 존재 입증한 '특이점 정리' 미래 물리학을 예견하다
2020.10.07
우주에서 이것을 보면 마치 검은 구멍처럼 보일 것이다. 이러한 블랙홀의 개념은 사실 18
세기
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뉴튼 중력에서 별 표면에서의 탈출속도는 이 별의 밀도에 비례한다. 1783년 존 미첼과 1796년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는 별의 밀도가 적당히 높아지면 이 탈출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프랑스 과학자 피에르 시몽 드 라플라스와 영국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존 미첼은 18
세기
후반 천체들이 매우 밀집하면 보이지 않게 된다고 추론했다. 빛의 속도는 이 천체들이 중력을 빠져나올 만큼 빠르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로부터 대략 1
세기
뒤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 이론을 발표하자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②위기는 이미 시작되었다
2020.10.06
했다.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대학으로 손꼽히는 옥스퍼드대와 케임브리지대는 18
세기
와 19
세기
초반, 급격한 산업화와 국민국가의 도래라는 인류사적 전환기에 대응하지 못하고, 고전 교양 교육과 성직자 배출이라는 중세적 역할에 집착하며 ‘구시대의 유물’이라는 오명을 듣기도 했다. ... ...
노벨상 가능성 거론 현택환 교수 "자유로운 과학연구환경 필요"
연합뉴스
l
2020.10.05
응용연구를 구분하기보다 '탁월성'을 좇아야 한다고도 역설했다. 현 교수는 "21
세기
에서는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을 구별하기 어렵다"며 "노벨상 수상 취지처럼 인류에 실제로 도움을 주는 연구에 충실했을 때 더욱 탁월한 연구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세상을 뒤집어놓을 수 있는 논문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관찰하고 분류했다. 그 능력이 얼마나 뛰어났던지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류는 18
세기
까지 군림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유래한 개념 중에 ‘존재의 큰 사슬(The Great Chain of Being)’이라는 것이 있다. 하등생물에서 고등생물까지 하나의 큰 사슬처럼 위계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개념이다. 사슬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포기할 수 없는 화학물질, 차라리 친해지자
2020.09.30
칼 포퍼에 따르면, 만병통치약은 실제로 아무 병도 고칠 수 없는 엉터리일 뿐이다. 21
세기
과학기술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가 과거 시골 장터 약장수의 왁자지껄한 노랫가락 수준의 주장에 현혹될 수는 없는 일이다. ‘음식과 약은 뿌리가 같다’는 식약동원(食藥同源)을 외치는 전문가도 경계해야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