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핵탄두과학동아 l2016년 10호
- 5차 핵실험을 단행했습니다. 이번 핵실험으로 규모 5.0의 인공지진이 발생했는데, 지금까지의 핵실험 가운데 최대 규모의 폭발력이었습니다. 다이너마이트 1000t을 터뜨렸을 때의 위력이 1kt(킬로톤)인데, 북한의 5차 핵실험 폭발력은 10kt이나 됐다고 하네요.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됐던 핵폭탄의 폭발력 ...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큰 육식성 물고기일수록 인을 더 많이 배출했다.알제이어 교수는 “큰 물고기를 잡는 지금의 어업활동은 바다 생태계에 꼭 필요한 영양소를 없애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8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 [과학뉴스] 로제타가 포착한 필레의 최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7개월 뒤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면서 잠시 신호를 보내왔다. 하지만 이후 교신이 끊어져 지금까지 위치조차 파악할 수 없었다.ESA는 임무 종료를 앞둔 로제타호를 혜성 표면에 약 2.7km까지 접근시켜 촬영한 결과 필레를 찾아낼 수 있었다. 바위 그림자 끝부분에서 조금이라도 태양빛을 쬐기 위해 ... ...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정부는 최근 경남 거제 앞바다에서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이 검출됐고, 유전자 분석 결과 지금까지 발생한 콜레라 환자 네 명 중 세 명의 균과 일치한다고 밝혔습니다.바닷물이 콜레라균에 오염됐다는 사실이 뜬금없게 들릴 수도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폭염을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바닷물 온도가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미국 푸에르토리코대 생명체 거주 가능 행성 연구팀은 지금까지 총 44개의 외계행성이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꼽았다. 그 중 지난 8월 발견된 프록시마b를 비롯한 10개 행성(파란색 점선)이 가능성이 가장 높다. 세로축은 표면 온도, 가로축은 겉모습이 지구와 닮은 정도를 수치화했다. 각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약속했다. “키멜 씨가 1988년부터 우리 연구소에 많은 돈을 지원했어요. 저는 1990년부터 지금까지 그가 지원한 연구센터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처음 키멜 씨를 만났던 네 사람 중에서 저를 포함해 두 명이 노벨상을 탔습니다. 그가 저희를 위한 길을 닦아 준 셈이죠.”요나트 박사는 헬렌 키멜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버드(eBird)’라는 앱을 출시해 일반 시민이 새에 대한 관찰 기록을 남기도록 했다. 지금까지 약 30만 명이 총 3억 회 이상의 관찰 기록을 남겼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다양한 새들이 각각 언제 어디에 주로 머무는지, 계절이 바뀌면 어디로 이동하는지 더 상세히 파악했고, 이 정보를 자연보호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실시간으로 공감이 폭주하고 있는 글을 찾아 내용을 읽어보았다. 글의 제목은 ‘지금 당장 모자를 벗어라!’였다.모자를 벗고 거리로 나오라!지구 문명을 단절시키고 우리를 세뇌했던 적들은 모자를 벗을 수 없다. 모자를 벗고 거리로 나와 모자를 쓴 사람들을 죽이자!더 이상 세뇌되기 전에 그들을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얻은 수학자들은 다시 열정을 불태웠고, 2014년 4월, n을 246까지 줄였다. 수학자들은 지금도 n의 값을 줄이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지난 7월에도 관련 연구가 폴리매스 프로젝트 사이트에 올라왔다. 잠시 잠잠한 상태지만 언제 다시 불이 붙을지 모른다. 현재 수학자들은 올해 1월 올라온 11번 ... ...
- [소프트웨어] 숫자 바꾸기의 달인 진법 변환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얼마나 불편했겠어요. 그런데 라이프니츠는 이 수를 발견하고 매우 자랑스러워했어요. 지금까지 남들은 알지 못하는 수 체계를 발견한 것이 매우 뿌듯했던 거지요. 사실 라이프니츠도 자기가 발견한 수 체계가 이렇게까지 널리 쓰일 거라고는 생각지 못했어요. 그가 세상을 떠난 지 300년이나 ... ...
이전366367368369370371372373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