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5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Cry단백질과 짝을 이룬 한 편과 Clock단백질과 Bmal1단백질이 짝을 이룬 한 편이 상호
작용
하면서 24시간 리듬이 생긴다. 그리고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시신경교차상핵(SCN)에서 인체의 일주리듬을 관장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우리 몸에 있는 모든 세포는 자체의 생체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우리 눈에는 정상으로 보이는 초파리들은 실제로 다양한 변이가 숨겨져 있으나 Hsp90의
작용
으로 변이가 드러나지 못한 상태인데(수로화), 이 단백질이 고장 나면서 고삐가 풀려 여러 형태의 변이가 나타났다는 것(탈수로화). 중미의 작은 민물고기 아스티아낙스 멕시카누스(위)는 어쩌다 강에서 ... ...
1952년 런던의 ‘살인 안개’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7.01.02
살인 안개가 만들어졌다”며 “연소의 또 다른 부산물인 이산화질소가 촉매처럼
작용
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런던의 살인 안개와 오늘날 중국 스모그의 차이도 알아냈다. 중국의 스모그 입자는 런던의 살인 안개보다 훨씬 작은 나노미터 크기이고, 런던의 안개가 강한 산성을 띠는 것과 달리 ... ...
우주선에서 생을 마감해야 한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7.01.01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에는 태양풍을 타고 날아오는 양성자를 튕겨내면서 그 반
작용
으로 우주선을 움직이고 동시에 전력도 생산하는 ‘태양광 우주선’도 개발되고 있다. 아발론호 내에 있는 원자력 발전소. 우주선에 치명적인 결함이 생긴 원인은 수소로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전력을 ... ...
[카드뉴스] 월요병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1
느끼거나 헛기침과 틱 증후군을 보이기도 합니다. 두려움과 중압감이 스트레스로
작용
해 정신 상태와 면역 체계에까지 영향을 주는 것이죠. 학업에 부담을 느끼는 중고등학생뿐 아니라 초등학생과 예비초등학생들도 겪습니다. 주요 원인은 인간관계입니다. 단짝처럼 지냈던 친구들과 반이 바뀌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접근시켜 페르미온 분자(두 원자가 화학결합을 한 진짜 분자는 아니고 강하게 상호
작용
하는 쌍이다)가 보손처럼 행동하게 만드는데 성공했다. 즉 2003년 페르미온 응축 상태를 구현한 것이다. 최근에는 두 원자로 이뤄진 진짜 분자로 극저온의 화학반응을 연구하고 있었다. 즉 극저온의 양자화학으로 ... ...
[카드뉴스] 기억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2.31
기억하는 능력이 50% 이상 크게 떨어진 것이죠. 연구팀은 아동은 성인에 비해 뇌의 신경
작용
이 적기 때문에 조각으로 나눠진 정보를 기억이라는 형태로 구성하기 쉽지 않아 기억을 더 빨리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Q3. 평범한 성인도 기억을 잃나요? 성인이 기억을 잃는 ... ...
2017년 새해 첫날, 당신에게 1초의 시간이 더 생긴다
과학동아
l
2016.12.31
스티븐슨 교수팀은 논문에서 지구의 자전 속도에 조석력뿐만 아니라 다른 요인이
작용
한다는 것도 밝혔다. 연구팀은 지구의 실제 자전 속도가 100년마다 평균 1.8ms씩 느려졌다는 결과를 얻었는데, 이 수치는 조석력 외에 다른 힘이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었다. 이들은 핵과 맨틀 사이의 전자기력 ... ...
90돌 맞는 빅뱅이론…불변의 진리? 우주적 거품?
과학동아
l
2016.12.30
있어서다. 이석천 경상대 기초과학연구소 학술교수는 “급팽창을 통해 입자가 서로 상호
작용
한 뒤 멀어지면 지평선 문제가 해결된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문제는 급팽창의 직접적인 증거가 아직 없다는 점이다. 2014년에 급팽창의 직접 증거로 꼽히는 원시중력파의 흔적을 관측했다는 발표가 ... ...
서울대 공대 학생과 동문이 뽑은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과학동아
l
2016.12.29
캐릭터나 영화 주인공이 된다. 가상현실에서 가상 인물이나 물체와 서로 반응하고 상호
작용
하려면 사용자의 움직임과 의도를 잘 파악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AR(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은 현실세계와 가상현실을 합치는 것으로, ‘포켓몬고’ 게임이 대표적인 예다. 한계도 있다. 아직까지는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