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207건 검색되었습니다.
‘친환경’ ‘유기농’ 인증 제품,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2015.03.08
제품의 화학성분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광기 등 첨단장비로 분석했다. 이
장치
는 여러 화학물질이 섞여 있는 혼합물의 성분을 분리한 뒤, 각 물질의 분자량을 분석해서 그 물질이 무엇인지 알아낸다. 그 결과 37개 제품에서 156종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발견됐고, 그 가운데 약 3분의 ... ...
“빅뱅 후 3분 우주에 무슨 일 있었나 확인”
2015.03.06
장치
의 설계를 마치고 시제품을 제작해 성능시험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라온의 핵심
장치
인 길이 1m가량의 원통형 가속관을 자체 제작해 캐나다 국립입자핵물리연구소(TRIUMF)에서 성능 검증까지 끝냈다. 가속관은 중이온을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키는 진공관으로 라온에는 450여 개가 필요하다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스마트폰 40대를 동시에 충전하거나 선풍기 5대를 동시에 켤 수 있다. 집이나 카페에 이
장치
를 달면 실내에서는 어디서나 무선충전이 가능한 셈이다. KAIST가 개발한 온라인전기버스(OLEV)도 자기공진 방식을 이용했다. - 동아일보 제공 KAIST가 상용화를 추진 중인 ‘무선충전전기버스(온라인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작용하는 입자라는 뜻이다. 양성자가 바로 대표적인 하드론이므로 LHC는 양성자 충돌
장치
라는 뜻이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LHC가 본래 가지고 있던 최대 성능을 끌어내기 위한 작업이었다. 애초에 설계되기를 LHC는 두 개의 양성자를 각각 7조eV(전자볼트)로 가속하고 정면충돌시켜서 14조eV의 에너지 ... ...
원시 지구에는 ‘봄비’ 대신 ‘철비’ 내렸다
2015.03.03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Z머신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방사선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로 인위적인 초고온·초고압 상태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연구팀은 Z머신에 두께 200μm의 알루미늄 판과 철 샘플을 놓고 속도를 높여 489~632GPa(기가파스칼)의 압력을 가진 충격파를 발생시켰다. 그 결과 충격파의 ... ...
휴대용 초음파 검사기 가능해진다
2015.03.02
마이크나 엠프 같은 음향 증폭
장치
없이 즉시 소리를 녹음한 뒤 전송할 수 있다. 작은
장치
로 훨씬 깨끗한 음파를 수집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음파를 이용한 각종 계측기의 성능을 큰 폭으로 끌어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송경준 연구원은 “기존 음향기기의 소리 크기의 한계를 극복한 것에 큰 ... ...
‘땅 위에 있는 잠수함 시험장’ 세계 3번째 준공
2015.03.01
새롭게 구축하고 2월 27일 준공식을 가졌다. 잠수함 등 전기추진 선박들의 동력
장치
를 테스트하는 육상통합시험장은 아시아에서 처음이고 미국, 영국에 이어 세계 3번째다. 선박은 한번 건조하면 해체나 수리가 어렵기 때문에 개발단계에서 철저한 실험이 필요하다. 이 시험설비는 잠수함이나 쇄빙선 ... ...
컴퓨터가 0과 1만 알아듣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15.03.01
고안한 것으로, 테이프에 적힌 여러 가지 기호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다른 기호로 바꾸는
장치
다. 이론적으로 적당한 알고리즘만 있으면 어떤 계산도 할 수 있다. 실제로 만들어진 적 없는 가상의 기계지만, 컴퓨터가 모든 정보를 0과 1로 구성된 이진법 언어로 바꿔 인식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 ...
내년에 ‘자기부상 엘리베이터’ 나온다
2015.02.27
타고 우주 상공 300km의 국제우주정거장(ISS)까지 사람이나 물건을 실어 나르는
장치
다. 아이디어가 처음 나온 지 100년이 넘었지만 아직 이렇다 할 성과가 없다. 고영준 한국승강기대 교수는 “그동안 우주 엘리베이터 연구는 수백 km에 이르는 케이블 무게를 어떻게 지탱하느냐가 화두였다”면서 ... ...
차세대 휴대전화 배터리 걱정 사라진다
2015.02.25
휴대전화 같은 전자기기에 활용할 수 있는 고성능 초소형 전기저장
장치
, 일명 ‘마이크로 슈퍼커패시터’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최근 많이 쓰이는 리튬 등으로 만든 고체형 마이크로전지는 충전 속도가 느리고 반복 충전 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출력을 한층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