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뉴스
"
지지
"(으)로 총 4,010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년층 입원 질환 1위 백내장, 원인은 ‘노화’
동아닷컴
l
2015.03.18
실명에 이르는 경우도 있어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한번 혼탁해진 수정체는 다시 맑아
지지
않는다. 약물치료로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지만, 심한 백내장은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은 안구를 3㎜ 정도로 작게 절개한 뒤, 혼탁해진 수정체를 초음파로 잘게 부숴 빼내고 그 자리에 새로운 인공수정체를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 치키노사우루스 복원 가능할까
동아일보
l
2015.03.18
무척 닮았다. 호너 박사팀은 유전자를 조작해 발생 과정 동안 배아의 앞발과 꼬리가 짧아
지지
않게 만들면 공룡의 모습으로 알에서 깨어날 거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유전자 조작이 생명윤리적으로 옳지 않다는 논란이 있어 치키노사우루스는 아직까지 세상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 화석으로부터 ... ...
[광화문에서] 아직도 아득한 구제역 방역
2015.03.17
다들 혀를 찼다. 4년 전 겨울 무려 145일 동안 그 난리를 쳤는데 방역 대책은 별로 나아
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나아진 것은 백신 접종 등 도살 처분을 줄일 수 있는 예방정책이 실시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하지만 국내 바이러스로 만든 효과적인 백신은 아직 없고 연구할 인력도 부족하다는 ... ...
지긋지긋 꽃가루 알레르기… 약으로 치료하면 나쁘잖아? 아니래!! !
동아일보
l
2015.03.16
먼저 챙기는 필수품이다. 그는 “봄만 되면 재채기가 자주 나고, 한번 시작되면 쉽게 멈춰
지지
도 않아 주변 사람들의 눈치까지 본다”며 “봄철 워크숍이나 부서 단합대회를 수목원이나 야외 축제같이 꽃가루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날리는 곳에서 하자고 할까 봐 걱정도 된다”고 말했다. ○ ... ...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절지동물 발견
2015.03.15
구강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전까지 진화과정이 밝혀
지지
않았던 아노말로카리스 갈퀴의 비밀을 밝혀내는 데도 이번 발견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아노말로카리스는 입 앞에 달린 갈퀴 두 개로 먹잇감을 붙잡고 입에 집어넣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데, 새로 ... ...
고혈압 치료법 단초,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2015.03.13
못하고 고혈압이 생겼던 것이다. 그러나 Rgs2 단백질이 어떤 분해과정을 거치는지는 밝혀
지지
않았다. 황 교수팀은 Rgs2 단백질을 조절하는 특정한 효소가 있을 것으로 보고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사람의 세포 속에 있는 ‘Teb4’란 효소가 Rgs2 단백질을 분해하는 데 직접 관여한다는 사실을 처음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아인슈타인에게 바치는 헌사
2015.03.08
연구 결과에 주목한 이유는 발견된 이후 50년간 호모 하빌리스의 얼굴 형태가 정확히 밝혀
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영국 인류학자 루이스 리키가 1964년 탄자니아 올두바이 협곡의 180만 년 전 지층에서 발견한 이 화석은 턱뼈와 치아 등 인체 일부만 남아 있었다. 막스플랑크 진화인류인류학연구소 ... ...
밤하늘의 별은 계속 늘어날까요?
2015.03.05
별을 생성할 만큼 내부 온도를 충분히 낮게 유지하는 체계가 무엇인지는 명백히 밝혀
지지
않았다. 성단 내부엔 지금보다 10배 이상 많은 별을 생성할 만큼의 물질이 있지만 별의 생성은 억제된 상태였던 것. 맥도날드 박사팀은 별이 모여 있는 성단의 내부 온도가 오르내리는 규칙을 처음으로 ... ...
[출동! 명예기자]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03
지하에서 마그마가 천천히 식으면서도 만들어지고, 지하수가 흐르는 곳에서도 만들어
지지
요. 사람 손이 닿지 않는 깊숙한 곳에서 조금씩 자라다가 광산이 개발이 되거나 채석을 할 때야 비로소 세상에 모습을 보여요. 그래서 아름다운 광물을 수집하는 사람들은 광산이나 채석장 근처에서 멋진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된다고 말할 정도였다. 실제로 1925년 비엔나에 사는 오래 전 여자 친구(끝내 실체가 밝혀
지지
않았다)와 함께 스위스 아로사로 크리스마스 밀월여행을 떠나 현지에서 완성한 게 바로 슈뢰딩거 방정식이다. 만일 슈뢰딩거의 간통이 없었다면 우리는 지금 그 난해한 하이젠베르크의 행렬역학으로 ... ...
이전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