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d라이브러리
"
역할
"(으)로 총 5,679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6. 의학물리학자 유돈식
과학동아
l
199906
질병 부위를 보다 선명한 영상으로 제공하기 위해 진단 장치의 여러 변수들을 조정하는
역할
도 한다.뿐만 아니라 현대의학이 요구하는 첨단진단장비의 원리를 연구해 새로운 진단기를 만들거나 기존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일도 맡고 있다. 기존에는 MRI로 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유박사는 ... ...
원자력 발전의 부싯돌 중성자
과학동아
l
199906
핵분열할 때 나오는 에너지는 3t의 석탄을 태울 때 얻는 에너지와 같다고 한다.감속재의
역할
은 중성자의 속도를 느리게 해 우라늄핵과 잘 부딪힐 수 있도록 하는 것. 중성자의 속도가 느려지면 우라늄핵 속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그만큼 우라늄핵과 부딪힐 확률이 높아진다.흔히 ... ...
Ⅴ. 기록에 도전하는 건축 기네스
과학동아
l
199905
날씨에 구애되지 않는 개폐식이 더욱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구조물의 건설에 구조공학의
역할
과 기여는 실로 상상을 초월한다. 미래의 인간의 꿈을 실현하는 구조공학은 탄탄한 기초과학, 실험정신, 꾸준한 연구와 투자가 바탕이 될 때 더욱 꽃을 피울 수 있을 것이다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05
양성하고 소형 과학실험위성을 만드는 벤처 노릇을 함으로써 두 기관이 상호 보완적인
역할
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우리별(KITSAT)의 역사를 돌이켜 보자. 우리별 1호는 1992년 8월 11일(한국시간) 남아메리카 기아나 쿠루기지에서 프랑스의 아리안 로켓을 타고 처음 우주궤도에 올라감으로써 우리나라를 ... ...
물고기에도 나이테 있다
과학동아
l
199905
내면은 상아질에 단단하게 접착되고 외면은 치근막에 연결돼 치아를 턱뼈에 고정시키는
역할
을 한다.성장을 하면서 상아질과 백악질은 안쪽으로 점차 자라나 치수강을 메워나간다. 이 중 상아질과 백악질은 일생 동안 성장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성장륜이 나타나는 것이다. 성장륜은 치아를 ... ...
히틀러와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905
졸지에 망명자 신세가 됐다. 그 역시 맨해튼계획에 참여해 원자폭탄 개발에 중요한
역할
을 했다.히틀러를 떠난 유대인 중에는 화학자나 생물학자도 많았다. 192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오토 마이어호프(1884-1951), 1943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헝가리의 과학자 게오르크 헤베시(1885-1966), 1953년 ... ...
Ⅲ. 키 큰 나무에서 배우 고층 건축
과학동아
l
199905
벽체는 집과 집을 가로 막는 물리적인 차단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횡력에 저항하는
역할
도 해낸다. 대부분의 사무용 건물에서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한 부분은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코아라고 부른다. 이 벽은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골조와 함께 고층건물에서 횡력에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
과학동아
l
199905
속한다.거리 알려주는 세페이드 변광성은하의 거리를 알아내는데 가장 결정적인
역할
을 한 것이 세페이드 변광성이었다. 1912년 리비트는 세페이드 변광성이 특별한 주기-광도 관계를 만족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이용하면 세페이드 변광성이 있는 곳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는데, 허블은 ... ...
Ⅱ. 황금비가 구현된 무량수전
과학동아
l
199905
같아서, 기둥 안쪽에 있는 지붕의 누르는 힘이 기둥 바깥쪽의 처마를 들어올리는
역할
을 한다. 이 방법은 부재를 짜맞추는 기술이 힘들기 때문에 그리 널리 보급됐던 것 같지는 않고 지금 남아있는 사례도 단 한 건에 불과하다. 그 대신 보다 간편한 대용품으로 사용된 것이 공포라고 불리는 기둥 ... ...
자연의 일부 생태건축 그린빌딩
과학동아
l
199905
환경을 제공한다. 지붕의 잔디는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처가 되고 지붕 외부의 단열재
역할
도 한다. 가장 돋보이는 것은 건축에 사용된 진흙. 진흙은 재생 가능한 자연재료이고, 축열성능과 습도조절기능이 뛰어나다.독일의 킬 하세에 위치한 생태주거단지는 폐신문지를 활용한 종이솜단열재와 ... ...
이전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