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안혜연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소장, SW 업계에서 성장 원동력은?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말이 떠올랐어요. 하지만 보안이 뭔지 아는 사람이 없어 스스로 공부하고, 주변 사람에게 알려줬죠. 그러다 보니 어느새 보안전문가가 돼 있었습니다. 보안에서 수학이 중요한가요?수학이 산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모든 SW 기술은 수학을 기반으로 갖춰져 있습니다. 지금 ... ...
- 어린이과학동아 과학가족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어과동 과학가족 모여라!’에 소개할 첫 번째 가족은 조성현 독자 가족이에요! 성현 친구는 사소한 질문도 자세히 설명해 주고 ‘우리 동네 천문대’의 천문대 ... 본인만의 색을 찾아 다른 사람과 조화를 이루고,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처럼 행복한 사람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해달래요 ... ...
- 오퍼튜니티, 성과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잠들게 했지만요. Q 어과동 친구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10년이나 20년 후 화성에 사람을 보낼 때 지금 이 책을 읽고 있는 독자들이 그 주인공이 될 수도 있겠네요. 화성에서 오퍼튜니티를 다시 만나면 머리에 손을 대고, 눈을 본 다음 우리가 여기에 올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네 덕분이라고 대신 전해 ... ...
- [생각실험실] 순간이동을 하려다 문제가 생겼다! 누가 나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과거 기억마저 똑같이 지니고 있겠지요. 하지만 몸과 기억이 똑같아도 두 사람이 똑같은 사람일 수는 없어요. 나는 언제나 하나여야 하니까요. 그렇다면 크게 세 가지 답을 할 수 있을 거예요. 첫째, 부산에 남은 내가 진짜 나다. 둘째, 내 바람대로 서울로 복제된 내가 진짜 나다. 셋째, 부산의 나,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로버·초음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초음파는 인간이 들을 수 없는 2만Hz 이상의 높은 진동수를 가진 소리를 말해요. 사람은 나이와 건강상태에 따라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진동수는 다르지만, 대체로 20~2만Hz 진동수의 소리만 들을 수 있답니다. 초음파는 일상생활에 많이 이용돼요. 가장 대표적인 예가 임산부의 태아 영상이에요. ... ...
- 게임이 무슨 죄? 청소년 게임 중독 질병일까, 아닐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행동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실 강도와 빈도가 다를 뿐 전 연령대의 사람들이 게임을 즐긴다. 인터넷 게임이나 스마트폰 게임, TV에 연결해 즐기는 콘솔 게임 등 게임의 종류가 많고, 게임에 빠지는 유형도 다양하다. 한 교수는 “청소년의 경우 접근성이 좋은 인터넷 게임에 빠지기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생각한다. 피랍자들의 증언으로 살펴봤을 때 외계인이 몸을 재생하는 능력이 있다거나 사람의 뇌로 침투해 조종을 한다는 등의 증언은 전혀 없었다. 영화는 영화일 뿐이다. 즐기는 게 좋을 것 같다. Q. 외계인의 존재를 연구하는 이유는?현재의 생각의 패러다임 속에서 외계인의 존재를 받아들이기는 ... ...
- [10대의약] SNS 달군 다이어트 식품 효과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게 불가능하다는 뜻입니다.현재 식욕억제제는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으로 비만인 사람만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비만이란 쉽게 말해 몸에 지방이 지나치게 많이 쌓인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체지방 축적을 반영하는 지수인 BMI는 체중(kg)을 키의 제곱(m2)으로 나눠서 얻는데, 25~30이면 과체중, 30 ... ...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만날 준비가 어느 정도 된 것 같습니다. 다음 호에는 로보트 재권V가 사물을 알아보고 사람과 대화하게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To be Continued. 글. 한재권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jkhan@hanyang.ac ... ...
-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말을 듣고 나서야 4학년 1학기 수업이라는 걸 겨우 알아차렸다. 사실 반도체 분야를 아는 사람이라면 수업 이름만 들어도 1~2학년이 들어야 할 기초전공 수업인지, 3~4학년이 들어야 할 심화전공 수업인지 감을 잡을 것이다. 재료부터 시스템 설계까지 반도체를 제작하는 전 과정을 순서대로 배우기 ... ...
이전368369370371372373374375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