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쿨
학원
배움터
핵교
학당
학겨
핵겨
d라이브러리
"
학교
"(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무 기자의 취재노트로 건강 365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최고의 과학자였지만 어린 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수업을 하던 퀴리부인의 모습에서 내가
학교
현장에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깨달았다. 퀴리부인이 딸에게 들려주는 과학이야기이자벨 슈반느 기록최연순 옮김 | 자음과 모음 | 160쪽 | 850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숨어 있는 물을 아끼자!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물 없이는 살 수 없습니다. 현재 한 사람이 하루에 먹고 씻고 청소하는데 소비하는 물의 양은 약 90L라고 합니다. 그러나 농산물을 재배하고, 가축을 기르고, 옷과 자동차와 같은 공산품 등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숨어 있는 물’을 합치면 1인당 하루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l806년 토리노 대학의 조교수로 채용되고 09년에는 토리노에 가까운 베르첼리의 왕립 전문
학교
의 실증철학 교수가 되었다 20년에는 토리노 대학에 신설된 수리물리학(數理物理學) 강좌의 교수가 되고 중도에 정치적 이유로 강좌가 폐쇄된 10년 동안(1822년 말부터)과 수학자 A L 코시가 교수가 된 2년 (183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정도. 올해까지 캔샛 3대를 만들었지만 아직 로켓에 실어 발사한 적은 없다.한국과학영재
학교
학생들은 R&E(Research & Education) 활동으로 캔샛을 만들고 있다.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의 도움을 받아 2007년 3월 처음 ‘깡통’을 손에 잡은 이들은 지난 8월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제어회로에 사용되는 소스 ...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현실공간에 덧씌워 HMD를 통해 보여주는 장치다. 넓은 캠퍼스에 처음 온 사람에게
학교
건물들의 용도나 역사를 증강현실로 보여주고 목적지까지 길도 안내한다. 이를 관광지의 안내 시스템에 활용하면 훌륭한 여행가이드가 될 수 있다.하지만 HMD를 이용한 증강현실장치는 몰입감이 좋은데 반해 ... ...
국내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권위자 박성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로봇에 전자두뇌를 집어넣는 장면을 처음 접한 뒤 전자두뇌를 만드는 꿈을 품었다. 중
학교
시절에는 ‘학생과학’ ‘전파과학’ 같은 잡지를 보고 청계천 전자상가에서 부품을 구해다가 라디오나 무선마이크를 제작했다.전자두뇌의 꿈을 좇아 대학에서 전자공학과를 선택했지만 큰 회의에 ... ...
LG사이언스홀로 떠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자, 준비“ 됐지? 미래로떠나는 문을열어 봐!”2020년에는 어떤 세상이 펼쳐질까?‘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 유현이와 중황이가 미래의 LG사이언스홀로 떠났어. 지구온난화로 몸살을 앓는 지구에게 선물할 청정에너지를 직접 만들고 미래의 내 아기 얼굴도 볼 수 있대. 사이언스드라마도 보고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합성고무 제조를 공업화했다1891~1951 소련의 물리학자 모스크바 태생이다모스크바 상업
학교
를 거쳐 모스크바 대학에 진학하여, P N 레베데프의 연구실에서 P P 라자레프의 지도를 받았다1913년 다색광원(多色光源)의 광도 측정법에 과한 최초의 과학논문을 발표했고, 이듬해에는 빛과 열에 의해 생기는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미역국 먹었다?!‘미역국 먹었다’는 말을 들어 보셨나요? 이 말은 주로 시험에서 떨어졌을 때 쓰는 말이지요. 따지고 보면 이것은 터무니없는 말이랍니다. 미끈미끈한 미역의 성질 때문에 시험에서 미끄러졌다는 것 같지만 사실 미역국을 평소 많이 먹는다면 시험에서 떨어질 일이 없어요.미역은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그래서 근시를
학교
에 입학할 때쯤 생기기 시작해
학교
를 마칠 때쯤 멈춘다는 의미로 ‘
학교
근시’(school myopia)라고도 부른다.어떤 학자들은 가까운 거리의 사물, 즉 책을 많이 보는 것이 근시의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가까이 있는 사물만 많이 본다고 눈이 그 환경에 적응해 먼 거리를 제대로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