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왔어요. 돌고래들은 6월 중순에 김녕으로 이동해 마지막으로 야생적응훈련을 받은 다음, 7월이면 사람 곁을 떠나 제주 바다로 돌아간답니다.수족관 돌고래, 바다에서 잘 살 수 있을까?공연을 하고 먹이를 받아먹던 돌고래가 차갑고 거친 바다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요? 야생적응훈련장에서는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사실은 밝혀졌지만, 케플러는 천체가 왜 타원 운동을 하는지는 설명할 수가 없었다. 1687년 뉴턴은 케플러 법칙이 만유인력의 법칙 때문이라는 걸 수학적으로 증명한다.빛의 속도를 잰 수학자 오라우스 뢰머(644~1710)뢰머는 코펜하겐대의 수학교수이자 천문학자였다. 그는 1676년 목성의 월식을 이용해 ... ...
- 한택식물원에서 즐기는 풋풋, 매콤 우리 산나물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월 허브&식충식물여행 즉석 허브차 마시기, 허브향주머니 만들기, 식충식물관찰하기7월, 8월 여름생태교실 물속 생물탐사, 식물놀이, 나무곤충 만들기, 여름방학 탐구보고서 제작10월, 11월 가을숲 오감체험여행 열매찾기 놀이, 단풍잎향주머니 만들기, 가을액자 만들기* 한택식물원 홈페이지(hantaek.co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불에 익힌 배추마냥 짓무른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철에 강원도의 해발 700m 고랭지 같은 일부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배추를 재배한다. 온도가 높을 때 억지로 재배하는 만큼 배추가 속이 꽉 차지 않으며, 농약도 많이 쳐야 한다.즉 여름에 생산되는 고랭지 배추는 여름에 생산되는 다른 ... ...
- 흡연장면 보면 7일간 담배가 ‘땡긴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피우고자 하는 욕구가 평균 22% 증가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욕구는 다시 줄어들었지만, 7일 동안은 증가된 상태가 유지됐다. 공동 저자인 스티븐 마르티노 박사는 “한 번 노출된 결과 받은 영향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장기적으로 흡연 욕구를 느껴 담배를 피우게 될 수 ... ...
- 로봇아, 멸종위기 코모도 도마뱀을 구해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등 모두 21개 팀이 참석했다. 이중 정규종목 고등부에서 DDS팀은 4위를, 중등부에서 창의7팀이 8위에 올랐다.1위를 차지한 종목은 없었지만 참가 학생들은 대회를 통해 좋은 경험을 얻었다. 로봇 축구에 참가한 수영3팀 윤준혁 군(부산 동백초 6학년)은 “제작해 온 축구 로봇이 규정보다 커서 ... ...
- PART1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 김장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한국의 ‘김장 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넣도록 등재 권고했다. 12월 2~7일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쿠에서 열리는 제8차 무형유산위원회에서 24개국의 투표를 통해 최종결정된다. 지금까지 등재 권고를 받은 뒤 실패한 사례가 없는데다, 3월에 있었던 심사에서 베스트 5에 뽑혔기 때문에 무난히 ... ...
- 러시아 운석우의 재구성과학동아 l2013년 12호
- 7000여 채의 건물들이 파손됐다. 피해 정도를 알기 위해 연구팀이 조사한 1674명 중 107명(6.4%)이 충격파 때문에 뇌진탕을 앓았다. 또 80명(4.8%)이 충격파 때문에 깨진 유리창 때문에 자상을 입었다고 전했다.유성체가 지상에 닿기 전에 공중폭발한 까닭은 유성체가 철과 금속의 비중이 매우 낮은 각력암 ...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일란성쌍둥이에 “우리 병원에 온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보니 발병에서 진단까지 평균 7년이 걸렸습니다.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진단 기간이 짧은 것은 최근 기면증이 미디어를 통해 알려지면서 국내 인식도가 높아졌고, 교육열이 높아 졸음으로 성적이 떨어진 중고생이 병원을 찾기 때문인 것으로 ...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인공위성은 지구 중력의 영향이 덜 미치기 때문에 지구 표면보다 하루에 100만 분의 45.7초씩 시간이 빨리 간다.김성원 이화여대 과학교육과 교수는 “영화에서처럼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시간팽창이 일어나려면 태양 정도 중력으로도 모자란다”며 “중성자별이나 블랙홀 정도가 ... ...
이전368369370371372373374375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