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구조
기구
기관
제도
편성
시스템
뉴스
"
조직
"(으)로 총 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직장 상사가 화내면 직원들 딴짓 더 많이 해
2014.10.08
연구팀은 “직장 상사의 폭언은 직장 상사에 대한 반감뿐 아니라 일에 대한 회의와
조직
에 대한 반감으로도 이어진다는 사실이 함께 밝혀졌다”고 덧붙였다. ... ...
[2014 노벨 과학상-인연] 존 오키프 교수와 나
2014.10.08
간의 연구 협력이 많았다. 2005년 격자세포 발견 이후, 모세르 부부는 2008년 ‘신경
조직
망, 공간의 재현과 기억(neural networks, place representation and memory)’이라는 워크숍을 주최하면서 당시 세계적으로도 그 수가 많지 않은 장소세포와 격자세포 관련 연구자들을 노르웨이 최북단의 스발바르드라는 ... ...
인류의 끝도, 영화의 끝도 USB?
2014.10.05
버젓이 일어나고, 호텔 내 직원들은 돈 몇 푼과 공포로 입을 다문다. 루시가 미스터 장의
조직
원들에게 붙잡히는 장면을 뤽 베송 감독은 사바나의 톰슨 가젤이 맹수에게 사냥당하는 장면과 오버랩시켰다. 자연스러운 느낌은 아니었지만 그럭저럭 고개를 끄덕이며 볼 수 있었다. 적어도 ‘나는 ... ...
인공위성으로 재난 해결… 위성정보 활용계획 나왔다
2014.09.30
차관급)와 실무역할을 맡는 ‘우주위험대책반’(미래부 국장급)이 신설할 계획다. 이들
조직
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 등 관계기관 담당자와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해 우주위험 발생 때 실시간 상황분석과 대응책 수립 등을 할 예정이다. 현재 미국 합동우주작전본부에 등에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올해로 11회를 맞았다. 이 행사는 충북도와 충북대가 주최하고 오송국제바이오산업엑스포
조직
위원회, 국가지정 의과학연구정보센터가 주관하며 동아사이언스가 후원한다. 올해는 ‘토인의 탈’을 출품한 이극희 씨(인천 가재울초)와 ‘두 마리의 사슴’을 찍은 김도현 군(대전 외국인학교)이 ... ...
뇌 손상 회복시키는 ‘착한’ 단백질 발견
2014.09.24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7일자에 발표했다. 뇌수막은 외부로부터 뇌
조직
을 보호하기 위해 뇌를 둘러싸고 있는 막 구조물이다. 뇌가 외부 충격을 받을 경우 뇌수막 세포가 이동해 손상된 뇌수막을 재구축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는지는 밝혀진 것이 없었다. ... ...
“학부 3학년부터 실험실 생활 시작했죠”
2014.09.24
분화되는 비율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씨는 “다큐멘터리를 통해 ‘
조직
재생’이라는 분야를 처음 접한 뒤 김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관심이 깊어져 3학년 때부터 실험실 생활을 시작했다”며 “대학원에 진학해서도 꾸준히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석사 과정부터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물분자가 모여 눈결정이 형성되는 것처럼 세포가 모여 자발적으로 특정한 구조를 갖는
조직
이나 기관이 형성된다는 것. 리뷰 논문을 읽다 필자는 문득 사사이 박사가 오보카타를 적극 돕게 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즉 오보카타가 수소이온농도(pH) 변화나 모세관 같은 공간적인 제약 등 물리적인 ... ...
긴팔원숭이 팔은 왜 길어졌나
2014.09.14
유전자를 발견했다. TBX5 유전자가 팔 길이를 길어지게 만들고, COL1A1 유전자는 팔의 연결
조직
을 단단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또 이들은 ‘LAVA’라는 특이한 유전자도 찾았다. 이 유전자는 움직이는 유전자인 ‘레트로트랜스포손’의 일종으로, 원숭이의 다른 유전자 사이로 끼어 들어갈 수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가르치려 하기보다는 교과별 핵심 원리와 탐구능력을 엄선하고 이를 유기적으로
조직
하여 사회 및 자연 현상에 대한 큰 그림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많은 지식을 얕게 가르치기보다 적은 내용을 깊이 있게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 전 세계 교육계가 받아들이는 상식적인 경구다. ... ...
이전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