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d라이브러리
"
게
"(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파·방사능 스마트폰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염도 측정기, pH 측정기, 정전기 측정기 등이 추가될 예정이다.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손쉽
게
측정할 수 있다면, 우리 주변의 보이지 않는 유해 환경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원(염색체)에서 아래 반원은 인간의 염색체이고, 위 반원은 해당 동물의 전체 유전체(
게
놈)다. 선은 비슷한 유전자끼리의 연결선이다. 진화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다윈의 ... ...
사카린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사용 범위를 크
게
확대한 것도 유해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더 이상 찾을 수 없다는
게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 겨울철 즐겨먹는 간식인 ‘호떡’과 ‘붕어빵’에 사카린이 종종 들어있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다.겨울철 즐겨먹는 간식인 ‘호떡’과 ‘붕어빵’에 사카린이 종종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개화 상태를 관측해서 알려 주고 있지.어때? 기준이 있으니까 나 초정밀처럼 정확하
게
구분하기가 쉽지? 동생이나 형과 뭔가 일치하지 않아 문제가 생긴다면 다투지 말고 기준을 정해 봐. 그럼 문제가 풀리고 한결 사이도 좋아질 거야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얼마 전, 한 독자께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지난 7월호에 나갔던 ‘귀신 여러분~ 찍습니다~ 김치!’에 대해서 의견을 써 주셨더군요. 귀신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비물질적 ... 물까지 건너오면서 오늘날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 종종 나오는 허황된 이야기로 변신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수학자가 가장 힘들다고 느낄 때는 해답이 보이지 않을 때라고 말하며, 그렇다고 해서 쉽
게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설명했다. 끝까지 그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느꼈던 강연이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필즈상 수상자를 기대해 봐요!-전도윤 독자기자1981년 우리나라가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이용한 유용물질 생산을 전공했지만, 우주나 극지와 같은 극한환경에서 미생물이 어떻
게
대응하며 살고 있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 한세종 박사(hansj@kopri.re.kr)| 극지 등 극한 환경의 생물을 연구하는 과학자다. 1999년 KAIST 생명화학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남극세종과학기지 제24차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입구 어귀까지 내려온 사향소 무리.➋ 사진거리로는 훌륭하지만 야생곰은 연구팀에
게
공포의 대상이다.➌ 현장에서 가장 괴로운 것은 모기떼다. 평소에는 방충모자를 쓴다.➍ 오랜만에 맑은 하늘이 보여 기념촬영 한 컷. 오지에서 연구하려면 자주 대화하며 상대방을 배려하는 태도가 가장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말이야!WORST 오래 공부할 각오해야 될 걸?학부 때는 기초 지식과 다양한 재료들을 넓
게
배우기 때문에 아무리 분야를 좁혀가며 공부를 해도 깊이 있는 내용을 알기가 어려워. 그래서 많은 학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하지!Q&A 신소재공학과는 새로운 소재만 연구하나요?절대 그렇지 않아! 물론 아직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종종 건물이나 산을 뚫고(!) 가라고 오작동하는 걸 보면, 위 치를 인식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수 있다. 고층 빌딩 사이에서는 GPS신호조차 이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필자는 제한된 정보만으로 스스로 군집을 이루 는 시스템을 향후 연구할 계획이다. 군집로봇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 ...
이전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