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록"(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과학동아 l1998년 10호
- 몸이 걱정이 돼 온도계를 혓바닥 밑에 넣고 정말 체온이 떨어진 것인지 확인했다. 그러나 기록된 체온은 정상이었다. 이 현상은 공기의 온도가 체온보다 높기 때문에 발생한다.보통의 방안이라면 체온은 공기나 실내 물체보다 온도가 높다. 그래서 겨울에 추운 방에서 ‘하’ 하고 입김을 손에 불면 ... ...
- Ⅳ NASA 웹사이트베스트7과학동아 l1998년 10호
- 관측 데이터는 자그마치 3백만조 바이트가 넘는데, 이것은 약 5백장의 광자기 디스크에 기록돼 있다. 이 초대형 인공위성은 화성에서 일어나는 먼지폭풍으로부터 태초의 우주에 관한 새로운 발견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사고체계에 무시무시한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몇년 후면 천문학 ... ...
- 외계인이 살만한 곳 고래자리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이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고, 1593년 3월 4일 맨눈에 보이지 않을 때까지 매일 관찰한 기록이 있다. 또 ‘동국문헌비고’ 1594년 2월 20일과 ‘조선왕조실록’ 1594년 11월 2일에 다시 이 별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 별이 갑자기 나타났다 사라지는 신성이 아니라 밝기가 변하며 존재하는 별로 ... ...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주, 소호(小戶)는 50주를 밭에 심도록 하고 만일 이를 시행치 않을 시에는 벌을 내린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에 닥나무와 관련된 내용이 24회나 언급돼 있는데 특정 수목에 대한 내용이 이렇게 많이 나타나는 이유도 ‘문명의 어머니’라고 불리는 종이가 갖는 중요성 때문이리라 ... ...
- 추석 차례상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일정한 격식을 갖추었는데 이것이 제례다. 중국에서는 이미 요, 순시대에 제사를 지낸 기록이 있다. 특히 동양에서는 조상에 대한 제례가 하, 은시대를 거처 주나라 시절에 확고하게 갖춰졌다.우리 민족도 아득한 고대부터 하늘을 공경해 제천의식을 거행했다. 농경에 종사하게 된 뒤로는 우순풍조 ... ...
- 혈액형 발견한 외과의학의 구세주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실패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어떠한 방법으로 수혈을 했으며, 또 왜 실패했는지에 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아마도 최초의 수혈 시도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 뒤 수혈은 아니지만 영국의 크리스토퍼 렌이 1657년 정맥을 통해 실험동물에게 여러 가지 물질을 주입하는 시도를 했고, 1665년에는 존 ... ...
- Ⅲ 생활속으로 파고드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없었다. 그런데 여자마라톤 경기에 참가한 조안 베이노트는 2시간 24분 52초의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그러나 공(功)은 억울하게도 베이노트보다 NASA의 신기술로 돌아갔다. 그녀가 착용한 브래지어 때문이었다.여자는 젖가슴이 크기 때문에 운동할 때 여러가지 불편을 겪는다. 우선 젖가슴 ... ...
- 인조인간 로봇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체코슬로바키아어 robota라는 단어로서 ‘강제적인 노동’이라는 뉘앙스가 들어있다. 기록에 따르면 이 RUR이라는 희곡은 1925년 한국어로도 번역됐다.그러나 로봇이라는 말이 탄생하기 이전부터 ‘자동인형’(automata) ‘살아 움직이는 인형’(animated doll)등의 말로 로봇의 개념은 이미 널리 알려져 ... ...
- 조선백자 뒤에는 숲이 있었다.과학동아 l1998년 09호
- 옮긴 기록과 일치함을 보여준다.광주분원의 관요에 필요한 연료량은 얼마나 됐을까? 기록에는 장작 8천거가 분원의 관요에 필요했음을 밝히고 있다. 장작 1거는 5-6태를 말하며, 1태는 2짐에 해당하는 분량이고, 장작 1짐은 약 50kg의 무게다. 즉 백자 1천5백입(개)을 생산하는 한 단위요는 약 50짐의 ... ...
- 가을밤에 만난 이웃 은하들과학동아 l1998년 09호
- 델타별 지역에 해당되는 규(奎)자리에 성운성단을 의미하는 백기(白氣)가 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삼각형 자리는 안드로메다자리 아래에 그리스 문자 델타(Δ)와 닮은 이등변 삼각형이다. 크기가 작은 별자리지만 ‘나일 삼각주’나 ‘시실리섬’의 상징으로 고대부터 알려져온 별자리다. 지금은 M33 ... ...
이전3713723733743753763773783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