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과학동아 l2015년 08호
- Q 조선해양공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우나.크게 ‘조선’과 ‘해양공학’으로 나눌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조선해양공학과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조선’이죠. 물론 선박에 대해서도 배우지만 그보다 바다에 대해 배우는 게 먼저예요. 건축은 고정돼 있는 땅 위에 건물을 짓지만, 선박이나 해양 플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송준섭 기자(이하 송) : 후성유전학이 최근 대중의 관심을 받는 이유는 ‘DNA가 모든 것을 결정하지 않는다’는 메시지 때문인 것 같다. 만약 우리의 운명이 DNA에 의해 결정된다면 우리는 DNA의 꼭두각시에 불과할 것이다. 자신이 DNA를 복제하고 남기기 위한 기계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노유선 교 ...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완도선(1984), 달리도선(1995), 십이동파도선(2004), 태안선(2007) 등 총 13척의 고선박이 발견됐다. 이 중 신안선과 완도선은 중국 배로, 해외 무역 중 우리나라 해안에서 난파했다. 신기한 건 13척의 배 중에 11척이 고려시대 배라는 점이다. 통일신라 시대 배는 2012년 인천 앞바다에 ...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한 번 마셔보고 판단해 보세요.” 길쭉한 유리병 두 개에는 각각 투명한 액체와 반투명한 자주색 액체가 담겨 있었다. 쌀로 직접 빚은 소주라고 했다. 슬쩍 시계를 봤다. 오전 10시 30분이었다. 눈 딱 감고 한 모금을 꿀떡 삼켰다. 투명한 소주를 마시자 “캬~”소리가 절로 나왔다. 반면 자주색 소주 ... ...
- 감정은 마음먹기에 달렸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발표나 시험, 면접 같은 중요한 순간을 앞두고는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손에 땀이 나기 시작한다. 심한 경우에는 눈앞이 하얘지고 몸을 가누기도 힘들다. 1분이 수십 년 같은 대기 시간을 지나 실력을 발휘하려는 찰나! 커다란 말실수를 한다. 어떻게 끝냈는지도 모르게 허둥지둥 발표를 마치지만 너 ...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일반상대성이론의 우주론적 고찰’. 1917년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논문이다. 우주의 탄생과 변화를 일반상대성이론으로 밝힐 수 있다는 점을 처음 발견한 순간이다. 아인슈타인 자신은 비록 풀이를 찾아내지 못했지만, 프리드만, 드지터, 톨만, 로버트슨, 월커 등 과학자들이 1920~1930년대에 걸쳐 풀 ...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부끄러움이 많은 아이니까, 모습을 보이면 큰 박수로 맞이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룡이 활개 치는 ‘쥬라기 월드’의 정중앙에는 거대한 수조가 위치해 있다. 이 수조 속에 몸을 숨긴 동물은 두 쌍의 지느러미와 악어의 주둥이를 가졌다. 하지만 이 동물은 악어도, 공룡도, 상상속의 네시도 아니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두 명의 회계사가 그런 것처럼 두 명의 철학자 사이에서 논쟁은 더 이상 필요치 않을 것이다. ‘계산해 보자’고 하면 될 일이다.”중세 암흑기를 벗어나 이성이 꽃을 피운 17세기.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는 사상을 전개하는 데 일상에서 쓰는 말보다 수학 같은 추상적인 기호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2010년 5월 6일, 미국 다우존스지수가 순식간에 1000포인트 가량 폭락했다. 누군가 ‘로봇 트레이더’를 사용해 대규모 매도 주문을 만들어 시세를 교란한 것. 로봇 트레이더는 주가와 수량, 시장 상황 등을 입력하면 그 조건에 따라 알아서 거래하는 소프트웨어로, 초당 수천에서 수만 건의 주문을 넣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오래 전부터 낙타는 아랍 유목민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동반자였다. 아랍의 고전에 등장하는 낙타는 슬픔과 외로움을 달래주는 정신적 존재였고, 현실에서는 유용한 이동수단이자 식량이었다. 이슬람 시대 이전부터 아랍인에게 낙타는 ‘사막의 배’이자 숭배의 대상이었고 또한 전투의 수 ... ...
이전3713723733743753763773783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