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입체 투명망토는 연구자들의 오랜 숙원이었다. 독일 카를스루에 기술연구소 톨가 에어긴
박사
팀은 카펫형 투명망토 기술을 이용해 최초의 3D 투명망토를 개발했다고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들 연구진은 메타물질에 얇은 금박을 씌워 어느 방향에서나 물체를 감춰주는 투명망토를 만들었다. ...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렇게 큰 화석을 어떻게 부서지지 않게 목포자연사박물관으로 옮긴 걸까? 에헴, 공룡
박사
인 내가 처음부터 하나하나 자세히 알려 줄게.현장지질 조사를 통해 공룡알 화석이 발견됐지? 이렇게 화석이 발견되면 바로 조사를 시작하는 게 아니야. 먼저 나라에 발굴 허가를 받아야 한단다. 화석도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우주를 비행한 끝에 지금부터 1만 3000년 전 지구의 남극에 떨어졌지요.실제로 매케이
박사
팀은 운석을 확대한 사진에서 크기가 100㎚보다 작은 미화석 비슷한 흔적을 확인했어요. 또 생명의 흔적으로 볼 수도 있는 탄소유기물도 발견했지요. 하지만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미생물보다 훨씬 작고 구조도 ... ...
무질서 구조로 빛을 저장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뚫어 빛을 통과시키자 쏜 빛의 94%가 저장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연구팀의 피터 로달
박사
는 “무작위한 구조가 빛을 더 효율적으로 저장할 뿐 아니라 움직임을 더 활발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알아 냈지만, 현실에 적용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습니다 ... ...
나누고 비교하는 분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분수’ 맛 통조림이 나왔어요. 위아래 2층으로 된 통조림은 양도 2배지만 맛도 2배랍니다. 통조림 안에는 분수로 만든 음식이 한입에 쏙쏙 들어갈 수 있도록 먹기 좋은 크기로 나뉘어 있어요. 그럼 분수 맛 통조림을 열어 볼까요?초등학교 2학년 과정에서 분할이라는 개념을 통해 분수를 처음 배웁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천적을 피해 도망친 것이란 주장도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기획과 김영혜
박사
는 “대왕오징어가 천적인 향유고래의 공격을 피해 근해로 왔다가 깊은 바다에선 강하게 느끼지 못했던 부력 탓에 죽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렇다면 대왕오징어가 출몰하는 현상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대목이다.1993년 연세대로 부임한 이 교수는 칠레 세로토롤로 천문대의 앨리스터 워커
박사
에게 부탁해 어렵게 관측 일정을 잡았다. 더 이상 망원경이 없어서 연구를 못하는 상황을 보고만 있을 순 없었다. 급기야 1997년 1년 치 연구비를 들여 제자 2명을 칠레로 보냈다. 주어진 시간은 단 1주일. 제자들 ... ...
‘지방맛’ 둔감하면 살찐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공통적으로 기름진 음식을 상대적으로 덜 섭취하고, BMI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키스트
박사
는 “사람의 혀는 단맛과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외에 ‘제6의 맛’인 지방맛을 느낄 수 있다”며 “현대인들이 지방맛에 둔감해지면서 기름진 음식을 점점 찾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지방맛을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1969년 7월 21일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했을 때 한국인들의 이목을 사로잡은 과학자가 있었다. 인류의 달 착륙을 생중계해 ‘아폴로
박사
’로 유명해진 조경철
박사
다.한평 ... 했다. 국민들의 마음속에 고인은 늘 장난기 섞인 밝은 웃음소리와 함께 ‘아폴로
박사
’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김 교수가 자기소용돌이 구조를 맨 처음 발견한 것은 미국 로렌스버클리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던 1999년이다. 하지만 서울대에 임용돼 한국에 돌아오니 실험장비도 갖춰지지 않고, 연구비도 부족한 상황에서 실험을 계속하기가 어려웠다. “그때부터 시작한 게 컴퓨터 시뮬레이션이었어요.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