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인구달박사의 키다리아저씨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점과 여자라는 공통점 말고,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어요. 바로 인류학자이자 고
생물
학자였던‘루이스 리키’ 박사의 도움을 받았다는 점이에요. 리키 박사는 이들에게 유인원 연구를 권유하고 경제적인 지원을 하는 등 많은 도움을 주었어요. 고아였던 주디가 꿈을 갖고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아주석산(亞朱錫酸)나트륨에서 알칼주석산의 나트륨을 얻는 반응이다 1845~1916 러시아의
생물
학자 하리코프 대학에서 동물학을 배우고 나폴리에서 발생학을 연구했다1870~82년 오데사 대학의 동물학과 비교해부학 교수로 있었고, 83년 메시나에서 극피동물을 연구하는 도중 식세포 작용을 발견하고 ... ...
3. 고품질 바이오석유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바탕으로 한 우수한 바이오연료 생산 균주 개발이 더욱 중요하다. 커다란 배양기와 미
생물
, 당분만 있으면 모든 나라가 산유국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 역시 조만간 미국 키슬링 교수팀을 방문해 1년간 머물면서 공동연구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국내 기술로 개발된 바이오연료 생산 슈퍼 ... ...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중에 혹시 다른 실험실에서 같은 결과를 발표할 수도 있겠다 싶어 이 교수는 이번에도 ‘
생물
화학저널’의 문을 두드렸다. 1998년 6월 19일자로 발표된 이 논문은 일급 저널에 낸 수십편의 논문을 제치고 이 교수가 가장 애착을 보이는 ‘작품’이다.“일단 논문이 나가면 관련 연구를 하는 팀들이 ... ...
외골격 깨고 나온 잠자리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연약한 몸으로 딱딱한 ‘껍질’을 깨고 세상 밖으로 나오기까지 그는 껍질 속에서 얼마나 힘든 시간을 보냈을까. 아픈 만큼 성숙해진다는 말처럼 잠자리는 이제 네 날개로 세상을 훨훨 날 수 있을 것이다. 잠자리는 딱딱한 큐티클 외골격이 근육을 감싸고 있다. 그런데 외골격은 신축성이 없어 잠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과정을 설명하는 법칙으로서 이 곡선을 제시했는데, 후에 미국의
생물
학자들에 의해
생물
의 증식현상 설명에 사용되었다 1970년에 설립된 로체스터 대학의 부설 연구기관 이 연구소는 특히 열핵융합분야 연구에 주력하고 있는데, 그 오메가(OMEGA) 시스템은 세계 최강으로 알려져 있다 핵융합 기술은 ... ...
너에게 주고 싶은 달콤함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두근두근, 오늘은 화이트데이~♡ 내가 좋아하는 소녀 달코미에게 예쁜 사탕으로 내 사랑을 고백해야겠어. 다양한 색과 맛의 사탕 중에 달코미는 어떤 사탕을 좋아할까? 어떤 걸 골라야 할지 고민하고 있는데 갑자기 궁금해졌어. 왜 밸런타인데이나 화이트데이에 달콤한 초콜릿과 사탕으로 사랑을 ... ...
피부에서 산소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몸속 산소 농도를 조절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분자
생물
학자 랜들 존슨 교수는 쥐가 피부로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감지해 몸 속의 산소 농도를 조절한다고 생명과학저널 ‘셀’ 4월 18일자에 발표했다.보통 포유류는 폐로 들이마신 산소를 적혈구가 온몸으로 ... ...
10대들의 화학 축제 '화탐프'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지방으로 대체에너지를 만드는 연구를 했다. 이를 위해 무작정 대전에 있는 배제대
생물
학과 유순애 교수를 찾아가 도움을 요청했다. 두 학생의 열정에 깊은 인상을 받은 유 교수는 해조류를 무상으로 지원해주기도 했다. 이렇듯 평소 학교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연구에 뛰어든 참가자들은 ... ...
바다의 '젖줄' 하구역 살려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비율이 급증했다. 그 결과 경운기가 다녀도 바퀴 자국이 안 남을 정도로 단단해졌다.
생물
이 땅에 뿌리를 내리거나 굴을 파 서식지를 마련하기 어려운 환경이 된 것.진재율 박사는 2004년 한강 하구인 강화도 남단에 인공수초를 설치했다. 얇고 가는 플라스틱 모양의 인공수초는 조간대의 바닥에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