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식이다.운영체제 유닉스의 개발을 주도한 케니스 레인 톰슨(현재 구글 소속)은 1984년에 발표한 기고문(Reflections on trusting trust)에서 이미 컴파일러 백도어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백도어의 유무를 감시할 때 보통은 사람이 쓴 소스 코드를 분석하지, 이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컴파일러를 확인하는 경우는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짧은 인터뷰 뒤, C씨는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며 집 안으로 사라졌다. 지난 15일, 판결문이 발표됐다. 결과는 ‘청구 기각’. C씨와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연결되지 않았다. 아래에 판결문 전문을 싣는다.판결문 인간의 존재를 뇌 정보로만 판단한다면 C의 주장은 일견 타당할 수 있지만, 이 경우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피터 나탄 교수가 척수손상으로 통증을 못 느끼는 환자들이 간지럼을 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것입니다. 간지럼을 통각으로만 느끼는 것은 아니었던 겁니다. 간지럼의 원인은 다시 혼란에 빠지게 됐습니다. 현재는 촉각과 통각의 혼합이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는데요, 나흥식 고려대 의대 ... ...
- [쇼킹사이언스] 동글동글, 요정의 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발표되고 6개월 뒤, 요정의 원이 식물들의 경쟁 때문에 생긴다는 ‘자원경쟁설’을 발표한 거예요. 크레이머 교수는 요정의 원이 강수량 100mm 지대에만 생긴다는 것에 주목했어요.강수량이 100mm 정도인 지역에서만 물 저장고인 요정의 원이 필요하고, 그것보다 많거나 적으면 이런 지형이 필요 ... ...
- [과학뉴스] ‘작은 날개, 긴 다리’ 섬 새 유행 예감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섬에 서식하는 새들의 진화를 예측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몬태나대 생물학과 나탈리 라이트 박사팀은 섬에 사는 조류들이 대륙에 사는 친척 종보다 날개 근육이 작아 ... 줄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4월 11일자에 발표됐다 ... ...
- [과학뉴스] ‘아가미 필터’ 노하우 밝혔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수 있는 물고기 아가미의 여과 원리를 밝히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29일자에 발표했다. 금붕어와 고래상어 등의 어류는 아가미로 바닷물을 빨아들인 뒤 물속에 들어 있는 먹이만 걸러내 먹는다. 아가미가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하는 셈이다. 아가미 필터는 찌꺼기 때문에 막히는 일이 없고, ... ...
- [과학뉴스] 암흑물질, 사람 세포만큼 무겁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무거울 수 있다는 논문을 3월 11일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발표했다.입자물리학계에선 ‘약한 상호작용을 하는 무거운 입자’, 즉 ‘윔프(WIMP)’를 암흑물질의 후보로 생각해왔다. 윔프는 대략 100GeV/c2에 해당하는 질량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CERN 연구팀은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완성해야 한다.준희 길을 발표할 때 재미있는 일이 있었다. 캐나다의 한 대학 팀이 우리 발표를 보더니 자신들의 생체설계도를 가지고 와서 입력 값과 출력 값을 우리 프로그램에 넣어 돌렸다. 그런데 우리 프로그램이 제시해 준 경로와 캐나다 팀이 실제 설계한 경로가 같았던 거다. 신기해하던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2000년, 카츠 교수는 녹색형광단백질(GFP) 유전자를 합성해 형광 빛을 내는 ‘GFP 토끼’를 발표했다. 과학계에서 특정 기능을 확인하고자 GFP를 사용한 건 이전부터 흔한 일이었지만 예술계에서 전시를 목적으로 포유류에 유전자를 합성한 건 처음이었다. 그는 이런 예술 방식을 ‘유전자이식 아트 ...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계산해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1월 25일자에 발표했다(doi: 10.1038/NGEO2635). 지금까지 발표된 질소발자국 연구 결과 중에서 가장 많은 나라의 질소발자국을, 가장 구체적으로 분석한 성과다.연구팀은 질소화합물의 나라별 배출 총량을 계산하기 위해 일종의 ‘질소화합물 가계부’를 작성했다. ... ...
이전3733743753763773783793803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