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지금의 해안절벽이 급격히 만들어지면서 근처 라나이섬에 약 7백m의 파도가 밀려가 그
표면
의 약 95%를 휩쓸었고 그 결과 절벽에 산호언덕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그와 동료인 무어박사는 이 산호와 파편층밑의 산호를 잘라 연대를 밝혀보면 언제 이 해안절벽이 만들어졌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고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일어나는 다양한 사상은 각각 무수한 가능성의 산물인데, 이것이 다양한 경로를 거쳐서
표면
에 나타나며, 이때 사이트론적인 파면이 시공간에 형성되고, 이것이 고도의 민감한 어떤 뉴런에 의해서 지각된다는 모델을 제시했다.초감각지각은 시간과 공간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을 위배한다. ... ...
코브라의 새사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생활하기 때문에 거의 물을 먹지 않는다. 단지 유칼리나무 잎에 함유된 수분과 잎
표면
에 묻은 물만으로도 충분하다. 이들은 오줌을 적게 누고 또 모피가 치밀하므로 땀도 그다지 흘리지 않는다.닭을 비롯한 일부 조류는 식물성 먹이를 소화시키기 위해 모래주머니를 갖고 있는데, 코알라에게도 그와 ... ...
화성을 「제2의 지구」로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약 17℃정도 상승할 것이라고 본다.연구진들은 이 정도로 기압과 온도가 올라가면 화성
표면
의 암석속에 있는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분해돼 나올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렇게 되면 후속작업으로 원시적인 식물들을 이식할 수 있다. 비록 지구에 도달하는 양보다는 적지만 화성에도 광합성을 할 수 ... ...
생물체도 비약을 통해 진화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세포의 매질로 확산됨으로써 '개척자'세포에 의해 방출된 CAMP는 이웃 세포들의
표면
에 도달한다. 그리고 두가지 사건형태에 스위치가 켜진다. 세포들은 CAMP의 좀더 높은 농도의 영역으로 움직이는데 시약에서 파동무늬와 같이 대단히 잘보이는 밀도의 무늬를 나타낸다. 모여드는 과정은 신호를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거의 없다. 지구탄생 후 처음 수억년 동안에 일어난 원시지구의 진화과정을 통해 지구
표면
은 어느 정도 식게 되었고 대륙과 해양이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지구상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아마도 지구상의 최초의 생명은 이 과정에서 발생했을 것이다. 지구의 대기조성이나 해양환경이 생명이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많다. 실제로 근대 심해잠수정은 비행선을 제작한 물리학자들에 의해 개발됐다.지구
표면
의 71%를 점하고 있는 해양을 탐사하는 수단으로는 수상의 해양조사선, 수중의 잠수정 및 하늘의 비행체가 이용된다. 이중 해양조사선은 움직이는 연구소라고도 불리는데 해양연구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가뭄 때인 건기에 9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그들은 그위에 수초나 진흙을 덮은 뒤 둥지의
표면
을 매끈하게 한다. 부화기간인 4개월 동안 암컷은 이 알구덩이를 지킨다. 알에서 새끼가 부화돼 나올 때 쯤이면 새끼의 먹이가 되는 곤충이 최대로 번식하는 장마철이 된다. 어떤 악어는 알구덩이 대신 ... ...
물고기 생태 이용해 활어회 즐긴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마노메는 인위적으로 추운 환경을 만들어 물고기들이 스스로 체온을 낮추게한 뒤 체
표면
을 적실 만큼의 물만 끼얹어 횟거리를 운송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즉 바닷물이 담긴 커다란 컨테이너에 물고기를 집어넣은 뒤 이 바닷물의 온도를 0℃까지 떨어뜨린다. 물고기들의 체온이 떨어져 가사상태에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정도 만족할만한 벽돌이 만들어졌다. 적어도 겉보기에는 훌륭한 벽돌이었다. 그러나
표면
색깔이 곧 벗겨지고 변하는 것이 큰 문제였다.그후 실험을 수도 없이 반복했으나 실패의 연속이었다. 온 방안에 놓인 조립식 벽돌금형과 화공약품으로 인해 발디딜 틈이 없었다. 급기야는 온 집안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