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6,048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09
유전물질을 포함하는 염색체의 기본구조는 히스톤이라는 단백질에 DNA가 감겨있는 구슬
모양
의 구조(염색질)다. DNA에 저장돼 있는 유전정보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이렇게 감겨있는 DNA에 유전자 발현을 시작시키는 단백질(전사단백질)이 접근해야 한다. 그런스타인 박사에 따르면, 아세틸기는 ... ...
1. 미국 최악의 정전사태 맞은 이유
과학동아
l
200309
그리고 애자 등이 필요하다. 여기서 애자는 전력선과 철탑 사이를 절연하는 원통
모양
의 장비로, 절연력을 크게 하기 위해 표면은 주름으로 돼 있다.전력이 대도시에 도달하면 배전용 변전소에서 22.9kV의 낮은 전압으로 변환된다. 배전용 변전소를 거친 전력은 배전선을 통해 중대형 공장이나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09
되면 교차하는 부분에서 캐티난 유기분자가 전자를 받았을 때와 전자를 잃었을 때 고리
모양
이 달라지면서 0 또는 1을 의미하는 두가지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따라서 좁은 공간에 전극이 교차하는 부분이 많을수록 소자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현재 이 방식으로 도달한 최고의 집적도는 1μm2의 ... ...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09
지도로 나타내면 쏠쏠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바람과 물은 그 물리적 특징에 따라 파동
모양
으로 나타내볼 수도 있다.♣ Green Camp는 …1988년부터 유한킴벌리 주최로 매년 여름 열리고 있으며, 청소년들에게 자연환경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환경 체험 캠프다. 특히 나무와 물,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09
잘 보여준다. 같은 갯벌에서 여러 종의 도요가 함께 서식할 수 있는 것은 부리의
모양
과 관계가 있다. 뒷부리도요는 위쪽으로 휘어진 부리로 갯벌 표면을 쳐서 먹이를 잡아먹고, 마도요는 아래쪽으로 휘어진 부리를 갯벌 속 깊이 넣어 먹이를 찾는다.새가 공중을 날면서 멀리 있는 적과 먹이를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09
사인파 진동 주기의 역수인데 대해 감쇠진동(減衰振動)이나 발산진동(發散振動) 등의
모양
을 나타내기 위한 두 양(발산 또는 감쇠의 정도 및 주기)에 대응하는 복소수복소함수의 이론 및 그 응용에 관해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과 복소변수함수론이라고도 한다복소함수는 독립변수(獨立變數)와 ... ...
4 자외선으로 기록하고 가시광선으로 지운다
과학동아
l
200309
재생될 때 레이저에게 정보를 읽어나가는 길을 안내해준다. 이를 위해 밭이랑과 같은
모양
으로 만들어진다. 이때 생긴 움푹 들어간 부분을 홈(groove)이라고 하는데, 이것의 역할이 바로 레이저에게 길을 안내해주는 일이다. 그리고 밭이랑에서 흙을 쌓아올린 부분에 줄줄이 작물을 심듯 CD와 DVD의 ... ...
알루미늄과 강철의 키 커지기 경쟁
과학동아
l
200309
발각됐다.캔 경찰 : 꼼짝마! 우리 캔 나라에 침입한 이유가 뭐냐?슬기 : 오빠, 경찰도 캔
모양
으로 생겼어. 우리 이제 어떡하지?모험이 : 길을 잘못 들어서 여기까지 왔습니다. 절대로 침입한 것이 아닙니다.결국 모험이와 슬기는 경찰서에까지 끌려왔다. 캔 경찰과 한참 실랑이를 벌이고 있는데 캔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08
소멸되는 신기한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화성의 표면을 관측할 때에는 지표면의
모양
과 대기 변화에 주목한다. 옛날 관측가들이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착각할 만큼 표면에는 붉은 배경에 밝고 어두운 부분과 선들이 존재한다. 화성의 표면은 숙련된 관측가들에게 꽤 많은 지형들을 보여준다. 화성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308
1654년경 독일 마그데브르그시의 시장이었던 괴리케는 지름이 약 40cm인 반구 두개를 구
모양
으로 합쳐 진공을 만들었다. 이를 양쪽에서 8마리의 말이 잡아당겨도 분리되지 않음을 보였다. 진공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대기압의 힘이 얼마나 큰지를 실험적으로 입증한 것이다.1905년부터 1915년에 걸쳐 ... ...
이전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