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SF소설] 랄로랑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 카론이 화면 위로 가운데가 움푹 내려간 선이 그려진 그래프를 보여준다. 「처음
관측
한 건 25년 전이지만 태양이 너무 어둡고 물리량을 특정하기도 어려워서 결론을 내는 데 오래 걸렸어요. 하지만 확실해요. 이 그래프의 곡선은 4만 9000광년 너머에 있는 지구가 태양 앞을 지나가면서 그린 거예요 ... ...
예술이 된 우주·이달의 천체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2014년 8월 인공위성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해 지구 북극 대기권에서 허리케인을
관측
했다고 발표했어요. 북극 허리케인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현상이지요.이 허리케인은 약 1000km의 너비예요. 초당 최대 2100m의 속도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소용돌이 치며 비 대신 전자를 내뿜었어요. 연구를 ... ...
[한페이지 뉴스] 화성 5만 년 전에도 화산 폭발,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여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그 위에는 화산 퇴적물이 약 17.3km 너비로 분포해 있었다. 이는 화성 어떤 곳에서도
관측
할 수 없는 지형으로, 오히려 달이나 수성 표면과 더 비슷했다. 연구팀은 추가로 물질의 특성과 구성 및 분포를 조사했고, 그 결과 약 5만 3000년 전 폭발한 화산 활동에서 비롯된 지형임을 밝혔다. 당시 화산재는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근처에서 시간당 1000개 가까운 유성우가 떨어질 거라던 밤이었다. 나를 포함한 천체
관측
부원 모두 어쩌면 일생에 마지막일지도 모를 우주쇼를 놓칠 수는 없었다. 말그대로 ‘비오듯’ 쏟아지는 유성우의 모습은 상상만 해도 황홀했다.수능을 보지 않는 학년이었던 우리는 부모님을 설득해 새벽 내내 ... ...
[이달의 우주날씨] 6월 금환일식! 한국에서도 볼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일식과 월식 현상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독자는 얼마나 있을까요? 6월 10일에는 달이 태양의 일부를 가려 하늘에 금가락지 모양을 만들어 ... 볼 수 있을 예정이에요. 또 2035년에는 약 150년 만에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개기일식을
관측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니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외형을 DNA 해독 결과로 추정한 연구가 1위를 차지했다. 최초의 블랙홀 그림자
관측
과 40년 만에 개발된 에볼라 치료제 등 그해에 발표된 굵직한 이슈를 제친 결과다. 고인류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확인시켜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이런 관심에도 불구하고 데니소바인의 정확한 정체는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확률분포를 갖습니다. 이를 사전 분포라고 합니다. 아래 식처럼 우리가 현실에서
관측
한 데이터와 직접 설정한 사전 분포에 따라 구한 사후분포의 값이 우리가 찾으려는 값입니다. 이때 분모에 있는 모든 데이터가 가질 확률의 합을 계산하기가 어려워 이를 쉽게 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 ...
[이달의 책] 인공위성과 함께 세계 여행을 떠나보자 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아직 없다는 생각에서다.1992년 과학실험 목적의 우리별 1호를 발사한 이래 꾸준히 지구
관측
위성, 기상위성 등 인공위성을 개발 중인 한국은 세계에서 열 손가락에 꼽히는 우주 강국이지만, 아직 위성의 능력을 제대로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다. 이 책은 빅데이터 분석 등 최신 기술이 접목되며 더욱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스위스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인 제네바에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위치하고 있다. 우주 연구기관을 언급할 때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가장 먼저 꼽듯 입자나 핵 등 ...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실험적 강입자’다. 또한 입자의 질량이 클수록 빨리 붕괴해
관측
이 어렵다 ... ...
[특집] 사람을 대신하는 AI 비서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고려하기 위해 확률 모형을 세워야 해. 이 과정에서 관심있는 사건을 풀기 위해 AI가
관측
한 데이터를 확률변수 X로 표시해. 데이터에 따라 변하는 값이지. 또 각각의 확률 모형을 설정하기 위한 변수를 Y로 써볼게. AI가 알고리듬에 적용된 확률 모형을 학습한다는 것은 데이터 X를 가장 잘 설명하는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