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
d라이브러리
"
방대한
"(으)로 총 660건 검색되었습니다.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희생은 계속 됐다.뉴턴, 나에게 함부로 질문하지 마라 덴마크의 티코 브라헤(1546-1601)는
방대한
천체 관측자료를 남겨 유명한 천문학자다. 그의 자료들은 제자이자 조수였던 케플러에게 넘겨졌고, 케플러는 후에 뉴턴에게 영향을 준다. 그런데 브라헤는 한 귀족과 칼싸움을 하다가 코를 베어 평생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3세대 지나도록 해결되지 않는 최대 암호단백질체학은 단백질의 3차원 형태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를 컴퓨터와 수학적 알고리듬을 이용해 처리하는 학문이다. 이를 이용하면 우선 1차원적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3차원적 단백질을 예측할 수 있고 단백질의 3차원 형태를 상호 비교할 수 있다. 또한 ... ...
슈퍼컴퓨터와 생명공학의 화려한 만남 생물정보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있다. 인간 전체 염기서열 정보만 하더라도 약 3GB다. 신문 19만6천2백장에 해당하는
방대한
정보량이다.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생물정보의 높은 파도를 헤쳐나갈 든든한‘거북선’이 있기 때문이다. 어지러운 생물정보의 명쾌한 분석도구 생물정보학.33억 염기쌍에서 10만 단백질 군단을 ... ...
① 인간게놈 정보의 해일에서 진주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대한 게놈프로젝트가 수행되면서 엄청난 양의 염기서열 데이터가 생산되고 있다. 이런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려면, 지금보다 훨씬 발달된 전산시스템과 함께 필요한 데이터를 찾아내는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술이 중요하다.유전체학 연구에서 생물정보학은 포괄적인 접근을 ... ...
에이즈 연구 유전자칩으로 가속화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고유경로 밝혀야코르베일 박사팀은 새로운 바이오인포매틱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해석해낼 수 있었다. 유전자칩에 있는 각각의 유전자는 특정 기능과 관련돼 있다. 이것을 이용해서 HIV가 공격목표로 삼는 경로에 속한 유전자 그룹을 찾아냈다. 실험 결과, 에너지를 생성하고 ... ...
당신의 이메일이 감시당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검색할 수 있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내장시킬 수 있다. 이제 에셜론은 대륙을 오가는
방대한
정보 중에서 특정 단어를 포함한 정보를 걸러내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외국의 친구에게 보내는 이메일에 ‘대통령, 테러, 공산주의’와 같은 특정 단어가 사용됐다면, 인공위성과 해저 케이블에 ... ...
러브록의 '가이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이 책에는 한 비범한 과학자가 전혀 새로운 과학 이론을 확립하기 위해 20여년 간 찾아낸
방대한
과학적 증거들이 가득 담겨져 있다. 이는 전통적인 과학 교과서나 강의실에서는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내용이다. 그리고 새로운 이론 탐구를 위해서 한 과학자가 얼마나 폭 넓게 연구의 영역을 넓혀야 ... ...
컴퓨터에 무모한 도전장 내민 타자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부착한 타자기?그러나 컴퓨터의 등장은 타자기의 운명을 순식간에 바꿔놓았다. 컴퓨터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와 문서를 다운받을수 있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도 있는 등 모든 면에서 타자기보다 편리했다. 하지만 타자기는 컴퓨터가 갖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 ...
① 고효율·무공해 두마리 토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밖 현실을 둘러보면 어떨까. 우주선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그 추진력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대한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제한된 공간에서 고효율의 에너지를 만들어내야 하며, 에너지 발생 단계와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최소화시켜야 한다.우주비행사 음료수 제공이런 까다로운 ... ...
왜 인간게놈 연구에 통계학이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기술이기에 이처럼 똑똑할 수 있을까. 마이닝(채광작업)이라는 단어에서 알수 있듯이
방대한
양의 부스러기를 제거해야만 제대로 된 다이아몬드나 금을 찾아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논리를 데이터에 적용해보면 대용량의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지식을 발견하는 일을‘데이터를 캐낸다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