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양
형상
용모
모습
꼴
모양새
외모
d라이브러리
"
생김새
"(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지능과 정보를 무선으로 제공해. 대형컴퓨터가 명령한 대로 아이로봇이 움직이는 거지.
생김새
나 인공지능 같은 여러 특징이 현재의 로봇 공학기술을 잘 반영했다고 평가받았어. 유범재 박사는 ‘2030년 정도면 아이로봇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단다.잠깐! 3살 어린이보다 느린 ... ...
[시사] 돌아온 백설공주 수학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대 영화우선 직업이 다르다. 더 이상 순수하지도 않다. 왜? 그들도 먹고 살아야 하니까.
생김새
도 완전히 다르다. 귀여운 구석이라곤 찾아보기 힘들고, 말 걸기조차 어렵다. 하지만 역시 어여쁜 백설공주를 매몰차게 거절할 만큼 모질지는 못하다.결국 난쟁이들은 이번에도 백설공주를 물심양면으로 ... ...
PAL-VON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자동차를 만든 뒤 자이로콥터(오토자이로)라는 기술을 더했다. 자이로콥터는 헬리콥터와
생김새
가 비슷하다. 하지만 헬리콥터처럼 주 엔진으로 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동체 뒷부분에 달린 작은 프로펠러로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나아간다. 이때 받는 공기의 힘으로 큰 프로펠러를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때 고사리 같은 아이들이 밝게 웃으며 뛰어나와 우리를 반겼다. 마을 주민들은 피부색과
생김새
가 전혀 다른 우리를 가까운 이웃처럼 대했다. 저녁이 되자 게와 새우로 만든 요리를 만들어줬다. 가난한 마을이지만 끈끈한 사람 냄새에 풍요로움이 느껴졌다.인구 2000명, 면적 11ha(1ha=10000m2)에 해당하는 ... ...
꼬마 사육사의 맹금과 친해지는 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친해지는 비법 ①상대를 알고, 나를 알자!동물원의 동물들은 친구들에게 예쁘고 신기한
생김새
로 인기를 끌지. 때로는 사육사와 함께 훈련을 해 멋지고 신기한 모습을 보여 주기도 한단다. 우리가 먼저 만나 볼 수리와 매는 통틀어 ‘맹금’이라고 불러. 맹금은 수리과나 매과의 새처럼 성질이 ... ...
올빼미vs부엉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이름이 들어간 종은 대개 얼굴이 둥근 공통점이 있지만 각 종마다
생김새
가 다르답니다. 솔부엉이솔부엉이는 부엉이류에 속하긴 하지만 귀깃이 없어요. 이처럼 부엉이류 안에서도 종마다 차이가 있답니다 큰소쩍새올빼미과에 속한 소쩍새도 귀깃이 있어요. 올빼미와 부엉이뿐만 아니라 소쩍새도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온몸으로 보내고 이산화탄소는 바깥으로 내보내려면 공기를 모아두는 장소가 필요하다.
생김새
와 기능은 동물마다 다르지만(고등동물일수록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표면적을 넓혀 복잡하게 생겼다), 공기가 다른 데로 새어나가지 않게 모아두는 쿠션이라는 점에서 (곤충의) 기관이나 (고등동물의) 폐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발견했다. 코의 길이는 오히려 25% 정도 짧아졌다. 굴드 박사는 논문에서 미키마우스의
생김새
가 이렇게 변한 원인을 “사람들이 어린 동물처럼 생긴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그렇다면 사람은 왜 어린 동물을 좋아하는 걸까. 오스트리아의 동물학자인 콘라드 로렌츠는 이 현상을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송은이(소원이) 있소!” 얼마 전 개그콘서트에 출연한 가수 박재범의 어설픈 한국어 발음에 관객석에서 큰 웃음이 터진 일이 있다. 나름대로 노력한 ... 내가 잘못하는 발음 부위를 집중적으로 풀어줄 수있지 않을까. 헬스장에서도 근육의
생김새
를 알고 운동하면 효과가 높아지는 것처럼 ... ...
미션 임파서블! 월-E의 큐브 대작전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퍼즐이다. 수학교과서에 나오는 수학교구인 쌓기나무와 그
생김새
가 비슷하지만, 소마큐브는 정해진 모양이 있기 때문에 3×3×3 정육면체를 만드는 방법이 쌓기나무처럼 쉽지는 않다.소마큐브를 이용해 3×3×3 정육면체를 만드는 방법의 수는 최근까지 240가지로 알려져 있었다.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