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대"(으)로 총 2,437건 검색되었습니다.
-
- 강원도로 출동한 영웅들, 산불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교수), 정지훈(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정성래(국가기상위성센터 차세대위성개발팀 연구원), 채희문(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환경보호학과 교수), 강릉국유림관리소 특수진화대, ...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하지 못하더라도 캐나다 우주 프로그램에는 언제든 기여할 수 있다”며 “다음 세대 우주인들의 우주탐사 기회를 만들어 주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즐기겠다”고 덧붙였다. 그의 다음 행선지가 왜 대학이었는지 이해가 됐다.그런 그에게 이공계 진로를 고민하는 한국 학생들을 위한 조언을 구했다. ... ...
-
- 개미왕국의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CO1)’ 유전자를 검사했어요. 미토콘드리아의 유전자는 어머니를 통해서만 유전되며 여러 세대를 거쳐도 잘 보존돼 종을 구별하는 열쇠가 돼요. 특히 CO1 유전자는 다른 종과는 3% 정도 차이가 나지만 같은 종일 땐 1% 미만의 차이를 보여요. 과학자들은 종 연구를 할 때 미토콘드리아의 CO1을 ...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이 기술 역시 크리산티 교수팀이 개발했으며, 실험을 통해 7~11세대 만에 모기가 전멸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2018년 9월 24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bt.4245아프리카 보건과학연구소는 크리산티 교수팀의 협력 하에 ... ...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충분하고 빛을 많이 받게끔 하는 배열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며, “오랜 세대를 거치면서 생존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한 것이 아닐까”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들은 식물의 기하학적 배열에 대한 가장 ‘괄목할 만한 결과’로 1992년 발표한 프랑스 수리물리학자 스테판 두아디와 이브 ...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현재 옥시텍은 2018년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냈던 GM 모기 방사 승인 요청을 철회하고, 2세대 GM 모기를 개발하고 있다. 옥시텍은 “2세대 GM 모기는 테트라사이클린을 주입하지 않으며, 생존 지속성이 없도록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옥시텍은 지난 6월 3일 브라질 상파울루주에서 처음으로 ... ...
-
- 한국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의 항변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주변에 보이는 동물이라고는 당연히 인간이 가장 많았다. 우리도 정말 어쩔 수 없이 세대를 이어가기 위해 인간 소굴로 뛰어들었다.나날이 발전하는 인간 문명은 우리도 변하게 만들었다. 우리는 원래 주변 환경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변온동물이어서 기온이 따뜻한 시기에만 사는 여름 곤충인데, ... ...
-
- 영감┃우주로 가는 탑승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것이라고 발표하며 ‘디어문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디어문 프로젝트는 스페이스X의 차세대 재사용 로켓인 빅팰컨로켓(BFR)을 이용한다. 2단으로 이뤄진 BFR의 2단은 탑승객이 탈 수 있는 우주선인 ‘스타십’으로 이뤄졌다. 마에자와는 이 로켓을 타고 우주에 나가 6일가량 체류하는 동안 달 주위를 ... ...
-
- 탐험┃미국, 더 멀리, 더 많은 것을 보내기 위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년대 유인 화성 탐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더 멀리, 더 많은 것을 보내기 위해미국은 차세대 로켓인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을 개발 중이다. 이를 완성해 2020년 우주비행사를 태우지 않은 오리온(Orion) 우주선을 지구 궤도 밖으로 보내는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SLS는 한번에 26t까지 수송할 수 ... ...
-
- 질서┃우주의 현재···우리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우리은하 #오리온자리 팔 #태양계 빅뱅 후 2억~3억 년 지나 우주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1세대 별들은 안타깝게도 지금은 볼 수 없다. 태양 질량의 수백~수천 배에 이를 만큼 거대했던 별들은 엄청난 온도와 압력에서 단기간에 빠르게 수소 연료를 소진하며 수명을 다했기 때문이다. 여전히 관측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