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심리"(으)로 총 1,82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업까지 등장했습니다. 문제는 막대한 수술 비용. 이를 감당하기 어려운 청년들은 심리적 상실감까지 떠안고 있습니다.취업 준비생 B씨어렸을 때부터 파일럿이 되는 게 꿈이었는데, 채용 조건으로 ‘슈퍼시력’ 수술이 추가된 걸 보고 좌절했죠. 법적인 제재가 전혀 없으니까 일자리를 구하는 ...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낮아진다. 통제감이 급격히 낮아질 경우 무력감에 빠져 자포자기하기가 쉽다. 미국의 심리학자 주디스 로딘의 연구에 따르면 무력감을 극복하고 통제감을 갖는 것은 의외로 어렵지 않다. 화분을 키우거나 직접 크리스마스카드를 만드는 등 스스로 할 수 있는 소일거리를 찾는 것이 통제감 극복에 ... ...
- [과학뉴스] 예쁜 배지가 과학자들의 마음을 녹였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비영리단체인 오픈사이언스센터가 과학자들을 상대로 심리 실험을 진행했다. 학술지 ‘심리 과학’과 함께 투고된 논문 중 데이터와 재료를 다른 과학자와 공유하겠다고 밝힌 논문에 작은 배지를 달아주는 프로젝트를 2014년 1월부터 시작했다.그 결과 3% 내외였던 공개 비율이 1년 만에 23%로 뛰었다.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없기 때문에, 성공한 사람들은 소위 ‘사기꾼 증후군(Imposter syndrome)’을 경험하게 된다. 심리학자 파울린 클랜스 등이 주장한 이 개념은, 유명인들이 종종 자신의 명성이 사실 ‘사기’에 불과하다는 것을 대중이 알게 될까 두려워하는 현상을 잘 설명해준다.승리자와 패배자뿐만이 아니다. 오디션 ... ...
- PART 3 나도 데이터과학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구입해서 조기품절되면 안 되잖아요? 그래서 저는 데이터를 수집해 사람들의 수요 심리를 예측해 보기로 했습니다.일단 사람들이 치킨을 먹는 데 영향을 주는 변수를 몇 가지 생각해봤어요. 계절이나 날씨, 주말 등이에요. 말복 같은 치킨집에는 축복인 날도 빼먹을 수는 없고요. 그렇게 약 6개월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vol. 134, no. 3, pp. 747-758, 2011). 그는 “먼 미래에 로봇 팔 이식이 대중화될 때에는 이 같은 심리적 결합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MISSION 3미약한 신호로도 의도 파악하기로봇을 움직이려면 원하는 모터에 전기를 흘려주면 된다. 인체에 이식한 로봇 팔다리를 움직이려면 뇌의 전기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를 연구하는 것 또한 한낱 궁금증을 해결하는데 그치는 것은 아니죠. 최근 들어 심리학과 신경과학 분야에서 간지럼을 비롯해 사람의 행동에 대한 연구가 점점 더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로봇입니다. 김성호 교수는 “간지럼은 운동과 지각의 통합과정을 밝혀 낼 수 있는 좋은 ... ...
- [Tech & Fun] 왜 피해자를 비난하기 쉬울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피해자를 도와 피해를 줄여야 한다. 여기에 반대되는 행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심리학자들은 우리가 ‘자신이 아무 이유 없이’ 불의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사람들은 보통 나쁜 사람에게만 나쁜 일이 생기고 착한 사람에게는 좋은 일만 ...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다. 미국심리과학회(APS)는 ‘새로운 통계학’이라는 정책을 내놨다. 2014년 초에 ‘심리과학’지를 통해 발표된 이 정책은 과학적 가설검정 과정에서 유의확률과 함께 효과크기, 신뢰구간 등의 다양한 통계치들을 함께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 권고사항들은 점점 학계의 표준으로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다는 얘기다.이는 혼밥혼술족의 절대적인 수가 늘어난 덕이 크다. 일본의 범죄심리학자 무기시마 후미오는 사회적 일탈자에 대해 ‘퍼센트의 벽’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범죄학논집, 1979, 32(6), 57-76). 어떤 드문 행동을 보이는 사람이 전체 구성원의 1% 미만일 때 그 사람은 전적으로 ‘별종의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