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항
반대
항거
대항
항쟁
레지스탕스
저항력
d라이브러리
"
저항
"(으)로 총 1,62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체험으로 보는 미래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나아가게 하는 힘을 말하고, 항력은
저항
력과 같은 말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도록
저항
하는 힘을 말합니다. 추력과 항력은 반대되는 힘입니다.양력은 비행기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을 말하며 중력은 지구 중심으로 물체를 잡아당기는 힘을 말합니다. 마찬가지로 양력과 중력도 서로 반대되는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용골이 무거울수록 요트가 많이 가라앉고, 물살에 의한
저항
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용골의 또 다른 주요 기능은 옆쪽 또는 앞쪽에서 부는 바람에도 요트가 옆으로 밀리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게 돕는 것이다. 이 기능은 용골을 수직으로 길쭉하게 만들며 강화됐다. 물속에서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생긴다’와 동의어다. 한 가지 알아둬야 할 점은 공이 투수의 손을 떠난 이후로는 공기
저항
과 중력을 제외한 그 어떤 힘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해설자들이 흔히 이야기하는 ‘타자 앞에서 갑자기 떨어지는 변화구’도 물리적으로는 불가능하다. 타자 앞에서 무언가 갑자기 힘을 가하는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아직 모든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니다. 몇 년 전 전국을 강타했던 구제역이 바로 질병
저항
성이 떨어진 동물들이 공장식 축산 환경을 만나면서 나타난 문제다. 그 피해는 다시 고스란히 인간에게 돌아오고 있다. 인간의 지나친 먹이 활동이, 지구와 인간 스스로를 갉아 먹고 있는건 아닌가 돌아보게 된다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교수와 공동연구를 한 송경한 미국 스탠퍼드대 미생물면역학과 박사는 “숙주의 건강은
저항
과 관용이라는 두메커니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결과”라고 말했다.에리스와 슈나이더 교수는 관용을 잘 이해하면 새로운 약을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말라리아원충은 자기복제를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대청봉(1708m)과 비슷한 고도다. 이런 높은 고도 때문에 공기 밀도가 낮아지고, 공기
저항
이 줄어 타구의 비거리가 대폭 늘어난 것이다. 이론상으로는 해발 0m에 위치한 구장보다 5% 더 멀리 날아간다. 이외에도 콜로라도의 더운 날씨와 건조한 환경도 투수를 괴롭혔다.온도가 올라가면 분자의 운동이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은 선배 교수가 부정행위를 함께 하자고 해도
저항
할 논리가 궁색한 형편이다.2. 연구부정을 감독할 정부산하 위원회를 만든다이인재 교수는 “정부산하 위원회를 만들어 연구부정 조사의 상급심으로 활용하자”고 제안한다. 현재는 연구부정행위가 생기면 ... ...
찰칵~! 동물들의 순간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차지하려고 서로 싸우기도 하고, 자기보다 강한 적에게 잡아먹히지 않으려 필사적으로
저항
하기도 하면서 말이에요.그런데 때로는 누군가와 싸워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 버티는 것이 이기는 경우도 있어요. 바로 인간이 만든 오염된 환경 속에서라면 말이에요. 동물들은 오염지역을 벗어나 살아남기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만들어진 콩이나 옥수수 중 안정성 테스트를 통과한 것들도 있어요. 그 중에서 제초제에
저항
성을 갖는 것이 59%로 가장 많답니다.튼튼이 유전자를 넣는 과정➊ 튼튼이 유전자 자름 효소를 이용해 야생 바나나의 튼튼이 유전자를 잘라낸다.➋ 튼튼이 유전자를 끼워 넣음 잘라낸 튼튼이 유전자를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비행기는 중력과 그 반대 방향인 양력, 앞으로 나아가는 추력과 그 반대 방향인 공기
저항
력(항력)을 받는다. 이 네 힘이 평형을 이뤄야 공중에 뜰 수 있다. 비행기가 빠르게 달리면 양날개에 양력이 생기면서 뜬다. 속도가 빠르면 양력과 항력이 동시에 모두 커진다. 항공공학자들은 양력을 항력으로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