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
날붙이
나이프
도검
식칼
단도
면도칼
d라이브러리
"
칼
"(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수학이 톡톡! 토크 콘서트가 열리다!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콘서트엔 샤이니, 인피니트 같은 몸짱 아이돌이나 소녀시대의 화려한
칼
군무는 없다. 아이돌에 환호하고 함성을 지르며 흥분한 10대도 없다. 대신 수학자와 명사의 유쾌한 입담과 경쾌한 뮤지컬 공연, 그리고 명사들의 대화에 참여하고 공연도 즐기며 꿈을 키우는 멋진 10대들이 있다. 바로 지난 달 ... ...
최초의 화가는 4만 800년 전?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등이 포함돼 있다. 연구팀은 암각화 위에 생성된 탄산염 광물에서 전기 드릴과
칼
을 이용해 시료 50개를 채취한 뒤, 우라늄-238과 토륨-230 방사성 동위원소 비율을 측정했다.우라늄-238이 시간이 지나면 토륨-230으로 붕괴하는 성질이 있어 비율을 계산하면 연대를 알 수 있다.분석 결과 엘 카스티요 동굴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들어 팔 길이가 1m일 때, 표적을 맞추려면 약 6.28m 앞에서 던져야
칼
이 한 바퀴 된 뒤
칼
끝이 표적에 닿는다. 따라서 팔 길이와 던지는 방법에 따라 표적을 맞추는 거리가 달라진다. 간단한 수학만 알면 더 정확하게 표적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안전하게 동물대포를 쏘는 비법은?난 말 많은 얼룩말 ... ...
조각 낼 때마다 분신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자라나는 플라나리아에게 한 수 배우기로 했답니다. 몸을 잘라도 죽지 않는다며?저는
칼
로 몸을 잘라도 죽지 않아요. 제 몸을 반으로 자르면 머리 부분의 단면은 꼬리를, 꼬리 부분의 단면은 머리를 재생시키죠. 한 마디로 완전한 두 마리의 플라나리아가 된다는 얘기예요.자른 조각이 새로운 한 ... ...
마법 요리의 세계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학생들은 바빠진다. 예쁘게 꾸민 앞치마를 두르고 개그콘서트 사마귀 유치원의 쌍
칼
흉내를 내기도 한다. 한쪽에서 김소라 학생이 미리 짠 안무에 맞춰 춤을 춘다. 이찬우 학생이 등장해 윙크를 날리자 아이들의 환호가 이어진다. 초등학생들을 사로잡는 재미있는 카리스마를 가진 최혜연 학생은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벨전화연구소는 전화 통화를 간섭하는 소음(전파)의 실체를 밝히는 연구를 신입사원인
칼
잰스키에게 맡겼다. 1932년 그는 전파안테나를 만들어 그 잡음이 주로 우리은하의 중심에서 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우주에서 오는 전파의 실체가 궁금해진 잰스키는 좀 더 정밀한 관측을 위해 전파망원경을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돼 알에서 깨면 곧바로 무성생식을 시작한다. 몸길이가 약 15mm, 체중이 1mg이 될 때마다
칼
같이 두 개의 개체로 나뉘는 식으로 기하급수적으로 개체 수를 늘린다. 이 민물지렁이가 이렇게 열정적으로 개체수를 늘리는 까닭은 잠자리 유충 등 포식자로부터 잡아먹히는 속도보다 개체수를 더 빨리 ... ...
유리의 무한변신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끝에 묻혀져 반대쪽에서 불어오는 예술가의 숨결을 고스란히 담아 부풀어 오른다.
칼
과 집게에 다듬어져 섬세한 자태를 뽐내기도 한다. 커다란 석고 틀에 부어지면 거대한 조각품으로 다시 태어난다. 이제 유리는 예술이다.유리, 화려함에 빠지다이보다 화려할 수 있을까. 베네치아의 유리 조형 ... ...
‘부바’와 ‘키키’는 어떻게 생겼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도 그렇죠.”당시 이 말을 들으며 날카롭고 강한 무언가를 떠올렸다. 굳이 비유하자면
칼
같은 것이었다. 만약 그림으로 표현하라고 했다면 위에 소개한 ‘키키 같은’ 형태와 비슷하다.이유는 바로 발음이다. 저자에 따르면 아메바 같은 그림은 “부드러운 곡선과 등고선 같은 기복을 흉내 낸다.” ... ...
흉터 없이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때문이다. 로봇수술은 무엇보다 흉터가 적고, 그래서 회복도 빠르다. 수술로봇은
칼
로 사람 피부를 자르지 않는다. 몸에 구멍을 낸 뒤 코가 긴 수술도구를 집어넣고 환부를 치료한다. 구멍을 뚫고 환부를 치료하는 복강경 수술을 의사 대신 해 주는 것이다.물론 다빈치 로봇이 없어도 의사가 복강경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