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지
마부츠
Western
western
weston
뉴스
"
웨스턴
"(으)로 총 387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 3층 건물 만드는 비법
2015.01.11
모습을 형상화 한 것으로 구조물의 이름은 ‘3중층 건물’이다. 미국 일리노이대와 노스
웨스턴
대, 한양대 연구진이 공동으로 작성한 논문을 보면 아기자기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3차원 구조물들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연구진은 2차원 평면 위에 재료를 기하학적으로 깔아 놓은 뒤에 ... ...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식인종이 아니다’라는 의견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매리 러셀 전 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 인류학과 교수는 1980년대에, 크라피나의 네안데르탈인에게 정말 식인 풍습이 있었는지를 밝히기 위해 기발한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만약 네안데르탈인이 서로 잡아먹었다면, 화석에서 ... ...
조류계의 외로운 ‘아수라 백작’
2014.12.31
정확히 절반은 빨간 색, 나머지 절반은 하얀 색을 띠고 있었다. 브리앙 피어 미국
웨스턴
일리노이대 교수팀은 이 새를 40일 넘게 관찰할 결과를 ‘윌슨조류학저널’ 최근호에 공개했다. 이 새는 분류상 ‘홍관조(Cardinalis cardinalis)’의 일종이다. 홍관조는 미국 메이저리그팀 세인트루이스 ... ...
밤샘 좋아하면 싸이코패스?
과학동아
l
2014.10.05
촬영해 변화를 관찰했다. ▲ 심리학상 당신은 아침형 인간인가 저녁형 인간인가. 호주
웨스턴
시드니대 사회과학·심리학대 피터 조나슨 교수팀은 밤샘을 잘하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어떤 성격을 가지는지 관찰했다. 밤샘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사람들보다 자아도취, ... ...
음악 교육 좀 받더니 대학 진학도 척척
2014.09.03
아니라 뇌 발달에도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니나 크라우스 미국 노스
웨스턴
대 교수는 집단 음악 교육을 2년 동안 받은 아이들의 뇌에서 언어와 읽기 능력을 담당하는 부위가 발달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신경과학저널’ 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로스엔젤레스에서 ... ...
“하루 만이라도 머리 좋아지게 해주세요”
2014.08.29
이 방법을 활용하면 적어도 24시간 동안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조엘 보스 미국 노스
웨스턴
대 교수팀은 머리 뒷부분을 자기장으로 자극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기억력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고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29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기억력과 관계 깊은 뇌 부위로 뇌 ... ...
아기가 ‘폭풍 성장’ 못하는 이유 분석해보니
2014.08.26
성장이 늦은 것으로 알려진 유인원보다 더디다. 크리스토퍼 쿠자와 미국 노스
웨스턴
대 박사는 “사람 아동기의 성장 속도는 포유류 보다는 파충류 쪽에 가깝다”며 “인간의 성장 속도가 느린 이유는 ‘배고픈 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쿠자와 박사팀은 양전자 방출 ... ...
1000년 뒤엔 ‘플라스틱 돌멩이’가 지질학 증거?
과학동아
l
2014.06.15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최근 캐나다
웨스턴
온타리오대 연구팀이 미국 하와이 해변에서 발견한 ‘플라스틱 돌덩이’를 비롯해 지난 몇 년간 자신들이 보도한 바 있는 플라스틱 관련 이슈 몇 가지를 소개하면서 새로운 지질학적 시대인 ‘인류세(Anthropocene ... ...
시냅스 3차원 초정밀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2014.06.01
위해 3가지 방법을 복합적으로 이용했다. 먼저 다 자란 실험용 쥐의 뇌를 적출한 후 ‘
웨스턴
블라팅’ 기법과 질량 분석을 통해 뒤죽박죽으로 섞여있는 단백질의 종류와 개수를 알아냈다. 그 다음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단백질의 크기를 측정한 후,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을 이용해 단백질이 ... ...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어떻게 구분할까요?
과학동아
l
2014.05.30
제공 정낙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사진) 연구팀은 미국 노스
웨스턴
대 스토다트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이산화탄소 분자를 자유롭게 흡·탈착시킬 수 있는 ‘나노다공성 유기금속구조체(MOF)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지금까지 사용하던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는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