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장
자계
뉴스
"
자기장
"(으)로 총 78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대기에서 치는 새로운 번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8
한 차례 임무 기간이 연장돼 2021년 7월까지 목성 대기 및 오로라의 특성과 중력,
자기장
등을 관측한 뒤 목성 대기권에 돌입해 마지막 대기 관측을 한 뒤 임무를 종료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주노에 탑재된 광학 카메라로 관측한 대기 표면 영상에서 이전에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작은 번개 현상을 ... ...
고체 물성 좌우하는 양자 특성 측정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양 교수팀은 운동량과 상관없이 일정한 에너지를 갖는 전자로 이뤄진 고체를 준비한 뒤
자기장
을 걸었다. 그 결과 전자가 가진 에너지의 영역(준위)이 퍼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여기에 양자거리의 최대값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고체 전자의 에너지 준위를 관찰하면 양자거리를 정확히 ... ...
정확도 높고 자원 소모량 줄인 '양자컴' 오류수정 알고리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이 때문에 동시에 수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빠른 병렬연산이 가능하다. 큐비트는
자기장
으로 가둔 이온이나 반도체, 초전도체 등을 이용해 물리적으로 구현한다. 큐비트는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취약한데, 이 과정에서 중첩 성질을 잃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중첩은 입자가 다른 입자와 ... ...
N극과 S극 마음대로 바꾸는 스마트 자석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모양에 따라 자화 형태가 변한다. 자성 스마트 소재는 이렇게 변한 자화 형태와 외부
자기장
간 상호작용을 통해 움직인다. 자화 형태에 변화를 주면 자성 스마트 소재도 변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자화 형태는 소재 내부에 만들어져 한번 고정되면 바꾸기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움직임을 ... ...
인공태양을 만드는 한국의 기업만 224곳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공급하는 파이프는 TMC가 개발해 납품했다. 1억 도가 넘는 초고온 플라즈마를 가두는
자기장
을 만드는 초전도 선재는 KAT가 납품했다. KAT도 KSTAR에서 초전도 선재를 제작한 경험을 살려 2008년 참여국 중 최초로 초전도 선재 납품 승인을 받았다. 한국 조달분인 초전도 선재 93t을 납품했고 이후 일본이 ... ...
'으르렁'대는 미국·중국도 손잡는 초대형R&D 프로젝트 ITER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반응이 지속되는지 실증하기 위한 연구가 바로 ITER 프로젝트다. 초고온 플라즈마를
자기장
을 이용해 가두는 자기 밀폐형 핵융합 장치 ‘토카막’으로 구현된다. 도넛 형태의 진공 용기에 수소를 넣은 뒤 1억도가 넘는 초고온 플라즈마 상태로 만든다. 바닷물에서 추출 가능한 중수소 및 삼중수소를 ... ...
중국 화성탐사선 '톈원 1호'이르면 23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0.07.22
로버는 다중 스펙트럼 카메라와 지형 카메라, 표면 탐사 레이더와 표면 조성 탐지기,
자기장
감지기, 기상 측정장치를 싣고 화성을 탐사한다. 톈원 1호를 운반할 창정 5호는 이달 17일 발사 구역에 수직 기립을 마쳤다. 중국의 우주발사체가 화성으로 우주선을 보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은 ... ...
태양 곳곳서 일어나는 캠프파이어 포착...가장 가까이서 촬영한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임무를 수행한다. ‘플레어’로 대표되는 태양 표면에서 일어나는 각종 폭발 활동과
자기장
변화, 표면 폭발 과정에서 생성되는 전자와 이온 등 입자를 관측한다. NASA와 유럽우주국(ESA)이 함께 개발한 이 탐사선은 올 2월 초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아틀라스5 로켓에 실려 우주로 ... ...
러 연구진, 오로라 실시간 관측장비 개발…"전자기기 고장 예방"
연합뉴스
l
2020.07.15
오로라는 태양에서 강한 태양풍을 내뿜을 때 방출되는 대전입자(플라스마)가 지구
자기장
이 얇은 극지방의 상층 대기에 스며들어 공기분자와 충돌하면서 빛을 내는 현상이다. 남·북극 모두에서 나타나지만 주로 북극에서 더 많이 관측된다. 다만 대규모 태양풍 폭발에 의한 질량 방출 ... ...
중성자별 이중성계 관측해 우주 팽창속도 '고민' 푼다
연합뉴스
l
2020.07.09
되는 별이 초신성 폭발 뒤 핵만 남은 밀도가 매우 높은 중성자별과 이들 중에서 강한
자기장
을 갖고 초고속으로 자전하며 펄스상(狀) 전파를 방출하는 중성자별인 펄서로 구성돼 있다. 약 5시간 주기로 서로를 돌면서 앞으로 4억7천만년 뒤에서 서로 충돌하며 합병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때는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