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군사
병사
베끼기
필사
등사
카피
뉴스
"
전사
"(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산소 감지하는 세포 '분자스위치' 암 치료 새 장 열다
2019.10.08
저산소일때 HIF는 수산화되지 않고, VHL이 인식하지도 분해하지 않아 핵 안으로 들어가
전사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발현되는 유전자 가운데는 암덩어리 속까지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새 혈관을 만들도록 신호를 보내는 유전자인 VGEF도 포함돼 있다. VHL은 산소를 감지하는 일종의 '분자 ... ...
노벨생리의학상 과학자들, 산소에 적응하는 세포 신비 밝혀 암치료 길 열다(재종합)
2019.10.07
저산소 환경에서는 분해되지 못해 농도가 증가한다. 수상자들이 연구한 HIF-1 유전자는
전사
인자 단백질이다. DNA에 붙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RNA를 만들어낸다. HIF-1은 저산소 환경에서 발현이 증가한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산소가 정상적으로 체내에 있을 때 HIF-1은 분해돼 없어지지만 저산소 ... ...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발표 보도자료 전문
2019.10.07
교수는 1995년에 HIF를 발현시키는 유전자를 알아냈다. 현재 HIF는 HIF-1α와 ARNT라고 불리는
전사
인자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정확히 어떻게 HIF가 작용하는지 알게 됐다. 예측하지 못했던 VHL 등판 산소 농도가 높을 때 세포 내에는 HIF-1α가 매우 적다. 하지만 산소 농도가 낮으면 HIF- ... ...
노벨의학상 과학자들, 호흡 복잡성 규명하고 빈혈·암 치료 길 열어(종합)
2019.10.07
때부터 노벨상 수상은 시간 문제였다”고 말했다. 수상자들이 연구한 HIF-1 유전자는
전사
인자 단백질이다. DNA에 붙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RNA를 만들어낸다. HIF-1은 저산소 환경에서 발현이 증가한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산소가 정상적으로 체내에 있을 때 HIF-1은 분해가 돼서 없어지지만 ... ...
노벨생리의학상에 암과 빈혈 치료 가능성 제시한 세포연구학 연구자 수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적응하는 통로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상의 영예를 안았다. 세 사람은 HIF-1이라는 유전자
전사
이자가 인체로 하여금 저산소환경에 적응하도록 돕는 방법과 함께 그걸 변형해 빈혈과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는데 기여했다. 올해 노벨 과학상 발표는 7일 생리의학상 발표를 시작으로 14일까지 ... ...
인체 3차원 게놈지도 해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뜻한다.
전사
촉진 부위만 선택적으로 분석하는 이 기법을 이용하면 멀리 떨어진 비
전사
영역의 유전정보 분석이 가능하며 유전자를 조절까지 가능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 기법을 활용한 결과 연구팀은 인간 게놈에 존재하는 약 90만개 게놈 3차원 염색질 고리 구조를 발굴했다. 이 정보를 ... ...
"30년간 써온 HIV 치료제 퇴행성 뇌질환 효과. 치료 새 장 열 것"
2019.09.23
확인했다. 유전성 질환인 다운증후군에 대한 효과도 함께 알아냈다. 천 교수는 “역
전사
효소 억제제를 복용한 미국 65세 이상 노인 수만 명 가운데 단 한 명만이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했다”며 “이미 30년간 쓰이고 있는 HIV 치료제가 퇴행성 뇌질환에 쓰일 수 있게 되면 많은 돈과 시간을 아낄 수 ... ...
[인류와 질병]바이킹과 유산
2019.09.08
않았다. 886년 파리 포위전에서는 무려 700척의 함대와 4만 명의 바이킹
전사
가 동원되기도 하였다. 방어할 힘이 없었던 유럽의 도시는 점차 돈을 주고 평화를 사기 시작했다. 이른바 데인겔트(danegeld)를 주고 잘 달래서 보내는 것이다. 심지어 단순왕 샤를은 아예 땅을 하사하는 방법으로 이들을 ... ...
위 점막 재생 돕는 위샘 줄기세포 역할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규명했다. 연구팀은 또 상하부에 있는 위 줄기세포들의 분자 특성을 ‘단일 세포
전사
체 분석’을 이용해 규명했다. 빠르게 분열하는 상부 줄기세포는 위샘 상부의 재생을, 느리게 분열하는 하부 줄기세포는 위샘 하부의 재생을 담당하는 특성을 각각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 이같은 위샘 재생은 ... ...
초소형 회로제작에 쓰이는 '나노와이어' 배치·정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최원준(오른쪽)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과 백정민(왼쪽)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김명화(가운데) 이화여대 ... 지난 6월 7일자에 발표됐다. 이산화바나듐 나노와이어 어레이 성장과정 모식도 및 주사
전사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냈다. KIST 제공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