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난"(으)로 총 3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8.12
- 좀 애매할 것 같고 한 500밀리리터 정도는 마셔야 확실할 것 같다. 우유 먹고 배탈이 난 기억이 없는 필자는 10% 확률의 변이 유전자를 갖고 있을지도 모르겠기에 한 번 시험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동아사이언스 l2013.08.05
- 클로스트리디움 감염으로 위독해진 환자 두 명에게 합성분변을 넣어 회복시킨 결과를 지난 1월 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에 발표했고, 현재 3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한다. 시장에 나와 있는 수많은 항균제품을 보면 지금도 여전히 우리 주변에서 미생물을 완전히 ... ...
- [웹툰] 한문은 어려워동아사이언스 l2013.08.01
- “권 대리! 근조 화환은 뭐 하려고 보나? 아픈 사람 바로 보내려고 그러나?” 그때까지 난 근조화환이 돌아가신 분의 명복을 비는 화환인지 몰랐고 함께 뜨는 사진들을 보고 나서야 알게 되었다. 아무 의미 없이 누르긴 했지만, 너무나 죄송했다. 다행히 그분은 무사히 퇴원하셨고 회사생활을 잘하고 ... ...
- [채널A] 비브리오 패혈증 치료길 열린다…국내 연구진, 치료제 개발 단서 찾아채널A l2013.07.25
- 실험 결과 난알 단백질의 작동을 막았더니 비브리오 패혈증균도 힘을 쓰지 못했습니다. 난알 단백질을 조절하는 물질로 비브리오 패혈증 치료제를 만들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인터뷰: 최상호 / 서울대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기존 감염균 치료를 위해서 사용하는 항생제들과는 달리 내성균을 유발하지 ... ...
- 무더위, 선조들은 에어컨 없이 어떻게 견뎠을까?KISTI l2013.07.10
- 가치관에서 볼 때는 매우 과감한 피서법이라고….” “악! 그만! 거기까지! 아아아, 난 어떻게 해. 상상이 된단 말이에요.” “그러니까 아빠가 상상만은 하지 말라고 했잖니. 보기엔 좀 거시기해도, 풍즐거풍은 상당히 건강에 좋은 피서법이었어요. 요즘 들어 옷을 벗고 바람으로 목욕을 하는 풍욕 ... ...
- 역사의 상흔과 영웅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7.09
- 결국 이름 없는 유골로 발굴되는 장면에서 눈을 붉히지 않을 관객이 없었다. 총탄이 난무하고 포탄이 터진다고 모두 전쟁영화는 아니다. 전쟁이 만든 휴머니즘의 모순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와 전쟁 속에 놓인 인간들의 고뇌를 있는가가 전쟁영화의 중요한 지점이 아닐까? 우리는 전쟁영화 속의 ... ...
- [채널A] 비만 오면 저린 무릎…나도 혹시 류마티스 관절염?채널A l2013.07.02
- 심해져 결국 병원을 찾았습니다. 전형적인 퇴행성 관절염 증상입니다. [인터뷰: 김종난 / 퇴행성 관절염 환자] 습한 날은 갠 날보다 더 아프죠. 부자연스럽고. 그래서 신발도 낮은 신발 신고 다니고. 장마철 저기압의 영향으로 관절 내 압력이 올라가면서 관절을 싸고 있는 막이나 근육, 인대를 자극해 ... ...
- [채널A] ‘칼로리 폭탄’ 음식 섭취 후 몸의 변화는?채널A l2013.06.23
- 이런 고칼로리 버거. 저도 참 좋아하는데요. 제가 한 번 먹어보겠습니다. 먹기 전과 먹고 난 뒤 혈액을 비교한 결과, 혈액 속 중성지방 농도가 60% 이상 증가했습니다. 유해한 콜레스테롤인 LDL콜레스테롤 수치도 뛰었습니다. 햄버거의 기름기가 혈액에 섞여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인 ... ...
- 고전역학의 기본을 정립한 천재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동아사이언스 l2013.06.20
- 논쟁은 공정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이 다툼 역시 1716년 라이프니치가 세상을 떠난 후에야 끝이 났다. 1688년 명예혁명 때 뉴턴은 국회의원으로 선출되고, 1691년에는 조폐국의 감사가 되었으며, 1699년 조폐국 장관에 임명되어 화폐 개주라는 어려운 일을 수행하였다. 1703년 왕립협회 회장으로 ... ...
- 우주왕복선 스페이스셔틀의 비행코드 STS의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3.06.20
- NASA는 비행코드를 다시 STS 다음에 숫자를 표기하는 형태로 바꿨다. 그런데 사고가 난 챌린저호의 비행 코드는 STS-51L인데 왜 1985년이 아니라 1986년 발사된 것일까? 그것은 비행코드의 연도와 발사 계획 번호가 실제 발사와 동일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우주선의 발사에는 한두 달의 시간이 걸리는 ... ...
이전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