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남"(으)로 총 4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2016.03.21
- 실험참가자들은 몸돌에서 박편을 떼어내는 작업을 하는데, 다섯 가지 조건이 있다. 즉 남이 만들어놓은 박편을 보고 혼자 작업하는 경우, 옆의 숙련자가 하는 걸 보고 작업하는 경우, 기본 가르침(손으로 손도끼를 제대로 잡게 해주는 등 약간의 도움을 줌)을 받는 경우, 몸짓으로 가르침을 받는 ... ...
-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2016.03.15
- 건 있지만 5㎛가 넘으면 보이지 않았다. 즉 각질층의 절반도 뚫지 못한 셈이다. 최근 남덴마크대 연구자들은 유도방출억제현미경을 이용해 사람 피부에 바른 리포솜이 각질층을 얼마 뚫고 가지 못한 채 대부분 파괴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리포솜에 함유된 형광색소의 분포를 보여주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2016.02.13
- 관측소가 북서부 핸퍼드에 있는 관측소보다 7밀리초 먼저 검출했기 때문에 중력파가 남반구의 하늘에서 온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10년 가짜 중력파 신호를 검출 실험에서 라이고 관측소가 멋지게 ‘성공’해 업그레이드 후 성공을 예감하게 했다. 당시 검출 신호로 왼쪽이 핸퍼드 관측소, ... ...
- 로또 1등 명당에서 사면 정말 로또에 당첨될까2016.02.02
- 것 같고 복권도 내가 긁으면 당첨 확률이 더 높아질 것만 같다고 믿는 경향이 나타난다. 남들은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설마 내가…’라며 자신이 위험에 처할 확률은 과소평가 하기도 한다. 우리가 이런 과도한 통제감, ‘통제감의 환상(illusion of control)’을 가지는 한 가지 이유는 ... ...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IBS l2016.02.02
- 도움이 되지요. 또 남 단장님으로부터 연구결과를 정리하는 노하우도 배웠습니다.” 남 단장은 펨토초 레이저 관련 연구의 선구자다. 고출력 펨토초 레이저와 고성능 광전자 계측 장비 등을 자체 개발하여 연구에 이용하는 등 국내 관련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탁월한 업적들을 달성하고 있다. ...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2016.01.11
- 현재 우리나라는 예외가 됐을 것이다), 특히 전립선암의 경우 호주와 뉴질랜드의 경우 동남아시아의 25배나 된다고 한다. 대장암의 75% 이상이 음식 때문으로 추정되고 흑색종의 65~89%는 자외선 때문이라고 본다. 한편 감염이 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도 간과할 수 없다. 인간유두종바이러스는 ... ...
- “난 쓸모있는 인간”이라 말하고 싶다면, 당장 OO해라!2015.12.29
- ‘남을 위해 돈을 쓰는 것’의 기쁨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자. 당연히 돈이란 남을 위해서 쓸 때보다 나를 위해서 쓸 때 훨씬 기쁠 것 같다. 누군가를 위해 돈을 쓴다는 건 가치 있는 일이긴 하지만 엄청 ‘해피해피한’ 일은 아닐 거라고 생각되지 않는가? 하지만 연구에 의하면 그게 그렇지 ... ...
- 마인드마이닝(mind mining)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언제 하는 것이 좋을까? 이런 기업의 CEO는 반드시 다른 관점의 생각을 지녀야 한다. 남들처럼 9시에 출근해서 6시에 퇴근하는 방식으로 회사경영을 한다면 절대 매출신장을 기대하기 힘들 것이다. 예컨대 사람들에게 소위 '지름신'이 강림하는 시간대는 주로 오전 11시, 오후 2시, 밤 9시라는 통계가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거대 잠자리의 비밀을 풀어낸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 2015.12.22
- 받는다. 1982년부터 1988년까지 버너의 실험실에서 박사과정학생이었던 돈 캔필드 남덴마크대 교수는 ‘네이처’에 실린 부고에서 스승의 학술업적 뿐 아니라 학생들을 챙기는 인간적인 면모도 소개했다. 버너 교수는 음악 소양도 대단해서 뛰어난 피아니스트였을 뿐 아니라 클래식을 작곡하기도 ...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2015.12.15
- 바로 이 수정 작업에서 나타남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아이들은 내가 느낀 것이 곧 남이 느낀 것이란 공식을 끝까지 미는 반면 (네 살 이전의 아이들은 나의 느낌과 타인의 느낌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한다) 어른들은 '어 잠깐'을 생각하는 경향을 보인다. 결국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