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스페셜
"
둘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서로 다른 나비가 닮아 보이는 이유 '유전자 흐름'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띠고 마치 말벌인듯이 흉내 내는 꽃등에가 그 예다. 이번 사이언스에 실린 연구결과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종이 필요에 의해 서로를 닮는 '뮐러 의태'다. 이들은 계통학적 분류에서 전혀 관계가 없고 자기들끼리도 먹이관계도 없다. 다만 포식자가 같아 독이 있거나 맛이 없게 보이도록 무늬를 ... ...
홍역 '면역 기억상실'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반드시 맞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나 교수는 “홍역에 걸리고 2년 뒤 폐렴에 걸리면
둘
사이에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지 못하겠지만, 실은 의사의 눈에 띄지 않는 홍역의 장기적 영향 때문일 수 있다”며 “홍역의 증상 자체는 이 병의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갑작스런 상실을 겪는 이들에게
2019.10.19
듯한 느낌을 더 크게 받기도 한다. 소중한 사람의 죽음과 멀쩡하게 흘러가는 일상생활
둘
다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향을 보인다. 갑작스러운 상실 중에서도 자살에 의한 상실은 상실감과 슬픔이 더 심하게 오래 지속되는 편이다. 마음이 훨씬 더 복잡해서 슬픔 뿐 아니라 버려졌다는 느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일을 맡긴다더니 중요한 자료를 선뜻 다 넘겨주지도 않아 실망감이 적지 않았다. 이
둘
의 애매한 관계는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스승과 제자가 만난 바로 이듬해인 1601년 브라헤가 갑자기 병으로 사망했기 때문이다. 이 허무한 스토리를 더욱 허무하게 만드는 것은 브라헤의 사망 원인이다. 가장 ... ...
"여배우 등장 시간 남성의 절반 수준" 시각 AI로 영화 분석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못하거나 한 경우의 차이다. 통과한 경우 여성 캐릭터의 등장 비중 차이가 적다. 오른쪽
둘
은 헐리우드 영화와 한국영화의 남녀 캐릭터 비율 차이다. 한국 영화는 극당적으로 남성의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KAIST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찾는다. 도플러 효과는 관측자나 관측 대상이 움직일 때
둘
사이의 거리가 바뀌면서 파장이 바뀌는 현상이다. 외계행성의 발견은 우주 관측기술의 발달과 함께 그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프랑스 파리 천문대가 운영하는 ‘외계행성 백과사전’에 이달 7일 기준 등재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
2019.10.08
정하는 설문지를 돌린다면 ‘우리가 원숭이냐?’라고 생각하는 사람보다 진지하게
둘
가운데 하나를 고르는 사람이 더 많지 않을까. 필자라면 모닝커피로 카푸치노를 마시기는 좀 밋밋해 전자를 택할 것이다. 실내조명도 하루 가운데 언제냐에 따라 선호하는 불빛의 색이 다를 수 있다. 필자 ... ...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3인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서멘자 교수는 자신이 이 분야에서 연구하는 데 영향을 미친 인물
둘
을 꼽았다. 서멘자 교수는 “고등학교 때 생물학 교사인 로즈 넬슨이 생물학의 경이로움을 전달해 준 것이 하버드대에 진학하게 한 계기였다”며 “이후 대학을 다니던 도중 가족과 같은 친구가 ... ...
7일 원안위 국감, 라돈침대 사태·日후쿠시마 오염수·원전 공극 현안 '수두룩'
동아사이언스
l
2019.10.06
제외한 결함제품의 수거율이 절반도 못 미치는데다 수거한 제품도 창고에 쌓아
둘
뿐 폐기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국민을 안심시키기 위해 지난해 시작한 라돈 방문측정 서비스도 올해 8월 종료되면서 소비자의 불안이 커지는 상황이다. 올해 7월 발광다이오드(LED) 제조기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
2019.10.01
메커니즘을 모른다고 한다. 폐포(alveolus)의 구조로 1형 폐포세포(type Ⅰ pneumocyte)로
둘
러싸인 풍선이다. 간혹 보이는 2형 폐포세포(type Ⅱ pnemocyte)가 만들어 분비하는 계면활성제가 물층으로 덮인 안쪽 면을 코팅해 표면장력을 줄인다. ‘BBA’ 제공 폐포에도 계면활성제가 있다? ‘액상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