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뿔소가 변한 외뿔소 자리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부근에서 출현했다. 지구에서 0.229AU(AU: 태양과 지구사이의 거리) 거리로 통과해 옛
기록
에 남아있는 혜성 중 3번째로 지구 가까이에 접근한 혜성이었다 ... ...
남자가 젖을 주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젖이 나오는 것도 같은 이치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71살 먹은 노파가 젖을 분비했다는
기록
이 있다. 또한 구약성서의 룻기를 보면 룻의 시어머니인 나오미가 룻이 낳은 아기를 받아 품에 안고 자기 자식으로 길렀다는 대목이 나온다.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겨 남자의 유방이 커지고 가끔 젖이 ... ...
농경문화가 변모시킨 국토의 얼굴 소나무 숲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바뀌면서 나무나 숲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고려시대부터 점진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기록
을 살펴보면 이같은 규제는 조선의 개국과 더불어 더욱 구체화돼 국가의 제도로 자리잡기 시작했다.조선 정부는 개국과 함께 강력한 산림보호시책을 실시할 수밖에 없었다. 고려말 국정의 문란으로 ... ...
민족의 영물 호랑이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산림지대에서 호랑이가 몇 차례 포획된
기록
이 있지만, 그나마 1946년의 이후에는 더 이상
기록
이 없다.현재는 다만 중국과 접경지역인 고산 삼림에 몇 마리가 남아 것으로 추정되고 있을 뿐이다. 과거 50년 이상, 남한에서는 단 한 차례도 믿을만한 호랑이 목격담이 없는 것으로 보아 남한에서 ... ...
2. 음력과 양력 어느것이 더 과학적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위치와 그에 따른 계절의 변화, (2)달의 위치와 모양, (3)각 행성들의 위치관계 등을 모두
기록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양력 달력을 통해서는 해의 위치와 계절만을 알 수 있는 것과 커다란 차이라 할 것이다. 양력은 해의 운행만을 고려하고 그 밖의 세부적인 모습은 사람들의 편의에 따라 임의적으로 ... ...
5. 바벨탑의 전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한 민족이었으나 다음과 같은 사건 때문에 언어가 달라지고 다른 민족으로 나누어졌다고
기록
했다. "최초의 사람들은 자신의 힘을 너무 믿어 신을 경멸하고 자신이 신보다 위대하다고 생각했다.이들은 오늘날 바빌론이 있는 곳에 높은 탑을 쌓았다. 이 탑이 하늘에 닿으려 할 때 갑자기 신이 있는 ... ...
쥐라기 공룡 만들어낸 조지 칼리슨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사냥꾼들에 의해 발굴됐다. 화석 사냥꾼들은 지구 연대기 안에 공룡의 역사를 하나 하나
기록
하는 사람들이다. 이와 달리 공룡의 뼈에 살을 붙이고 숨결을 불어넣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공룡 복원 전문가들이다.1997년 12월 24일부터 1998년 1월 16일까지 한국종합전시장(KOEX)에서 열릴 '세계공룡대전 II' ... ...
1. 아틀란티스 대륙의 정체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즐겼다.이런 주장을 뒷받침하듯 1960년 그리스의 지진학자 가라노포우르스는 플라톤이
기록
한 아틀란티스 대륙에 관한 19가지의 사실은 대부분 크레타 문명과 연관지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19가지 중 6가지는 완전히 일치하고 8가지는 일치가 가능하다고 주장한 학자도 있었다.그렇다면 '단 하루의 ... ...
단군은 박달나무의 아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인식해 왔는지 알기란 쉽지 않다. 나무나 숲에 대한 인식을 직접적으로 남긴 문헌이나
기록
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민족의 삶과 정서, 전통 속에 용해돼 우리의 정신적인 뼈대가 된 숲과 나무와 관련된 문화적 인식을 정리하고 체계화시키기 위해서는 문학 예술 작품 등을 통해 간접적인 ... ...
2. 통신혁명의 주춧돌 정보이론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최적시스템을 합리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방안도 제공해준다.위성통신, 데이터통신, 자기
기록
장치 등과 같은 디지털 통신시스템에서는 현재 신호 파형을 더 이상 한번에 한 비트씩 송수신하지 않고, 더 많은 비트열에 해당되는 파형을 전송하는 좀더 복잡하고 발전된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