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모두 죽는데 사람은 어떻게 추위와 더위를 잘 견딜 수 있는지 그의 호기심은 끝이 없다.
생물
학을 연구하는 동료에게 물어보기도 하지만 그래도 풀리지 않는 질문은 직접 실험 장치를 만들어 확인해봐야 직성이 풀린다고 한다. 디지털나노구동연구단에 있는 대부분의 실험장비는 직접 설계하거나 ... ...
'좀비 바퀴벌레' 만드는 방법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라는 말벌이 자신의 입맛대로 조종할 수 있는 일명 ‘좀비 바퀴벌레’를 만든다고 ‘실험
생물
학지’ 12월호에 발표했다. 이 말벌은 바퀴벌레의 몸에 알을 낳는 습성을 갖고 있다. 새끼가 자랄 때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해서다. 알을 낳기에 적당한 바퀴벌레를 고르고 바퀴벌레에 침을 쏘아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기후변화를 억제하려는 세계적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위 40개 산업국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 수준으로 돌아왔다. 미국과 러시아의 배출량이 최근 증가한 것이 큰 이유다. 지 ... 견해로서, 19세기 스코틀랜드 지질학자 라이엘의 '지질학 원리'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됐다
생물
종들 ... ...
겨울 바다에 밀려온 검은 재앙 태안 원유 유출 사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함께 희망을 건져 올리는 작업이 한창이다. 손에 손을 맞잡은 자원봉사자와 방제전문가,
생물
영향평가를 하기 위해 모인 과학자의 노력이 모이며 태안의 상처가 조금씩 아물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겨울 바다에 밀려온 검은 재앙 태안 원유 유출 사고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PART 2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강화되면서 독성이 큰 유화제는 쓸 수가 없게 됐다. 다만 유화된 미세한 기름방울은
생물
체에 쉽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해변이나 호수같이 잘 희석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해양경찰청 이봉길 해양오염관리국장은 “유처리제는 유출된 기름을 분산시키고 재응집을 막아 덩어리 ... ...
생명 2.0시대 오는가?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물
학자들의 질문이 달라지고 있다. 그동안 '생명은 어디에서 오는가'라는 물음에 매달렸다면 이제 '생명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라고 묻고 있는 것. 지구에서 자연스럽게 진화한 버전 1.0 생명체를 연구하는 시대는 가고 인간이 직접 만든 게놈으로 새로운 생명체를 창조하는 '생명 2.0' 시대가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명의 버전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2009년은 영국의 과학자 찰스 다윈이 진화론으로
생물
종의 다양성과 탄생을 설명한 ‘종의 기원’이 발간된지 150년이 되는 해다. 이제 인간이 만든 새로운 종에 대한 분야를 추가한 ‘종의 기원 2.0’이라도 나와야 할 것 같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A종이 B종으로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사례다. 비록 자연에 이미 존재하는 미
생물
에서 유전체 DNA를 분리해 사용한 실험이지만,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세균의 유전체 같은 커다란 크기의 DNA를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발현시켰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달리 얘기하면 ‘합성최소세포’를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사명감으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질환모델 쥐를 개발한 미국 유타대 유전
생물
학과 마리오 카페키 교수, 영국 카디프대 포유류유전학과 마틴 에번스 교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병리학과 올리버 스미시스 교수는 2007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이들은 특정 유전자를 없애는 방법을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갈조류의 뿌리에서 새로운 미
생물
6종을 찾아냈다. 이 가운데는 항
생물
질을 만드는 미
생물
도 포함돼 있어 신약 개발의 기대주로 주목받고 있다. 노현수 박사팀은 독도의 해양퇴적물에서 선형동물 2종을 발견해 Prochaetosoma dokdoense, Paradraconema asiaticum이라고 학명을 붙였다. 이름에 ‘독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