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장착한 지능시스템의 지원으로 윤택하게 사는 인류! 이것이 뇌연구자가 보는 21
세기
의 인류 사회이다.그런데 여기서 ‘인공’의 의미를 확실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사실 ‘인공’이라는 말은 분야에 따라 매우 다르게 사용된다. 의학에서 사용되는 ‘인공장기’는 손상된 장기 대신 이식수술을 할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뇌파. 과연 그 정체는 무엇일까. 이 세상에서 가장 복잡하다는 뇌가 만들어내는 뇌파는 21
세기
가 시작돼도 여전히 미스터리의 영역에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카오스’ 현상은 과학자들에게 중요한 교훈을 가르쳐줬다. 너무 복잡해서 도저히 어떤 법칙이라고는 존재할 것 같지 않은 신호도 알고 ... ...
스노우의 두 문화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있는 현대 사회 전반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그렇다면 ‘두문화’는 그로부터 반
세기
가 지난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지금의 우리 사회 역시 과학적 배경과 경험이 거의 없는 비전문가에 의해 과학기술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또 과학기술자들이 과학정책결정에 참여하더라도 ... ...
시스코 시스템즈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이코노미스트는 “IBM이 80년대, 마이크로소프트가 90년대의 대표적인 기업이었다면 21
세기
의 10년을 대표하는 기업은 시스코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스코는 지난 15년간 매년 2배씩 성장을 했으며 작년에는 매출 1백20억달러에 순익을 30억달러나 내는 초우량기업이 됐고 10년전에 이 회사 주식을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전능한 신이 만든 우주가 이렇게 복잡할 리가 없다는 것이다.코페르니쿠스는 기원전 2
세기
에 이미 태양이 지구보다 크며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도는 작은 행성에 지나지 않는다고 믿었던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아리스타르코스를 알고 있었다. 코페르니쿠스는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의 골칫덩어리였던 ... ...
간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우리나라의 위도에 맞에 만들어진 간의로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는 방법을 알아보자.15
세기
에 우리 조상들은 당시 세계적인 역법인 ‘칠정산’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이것은 천체운동에 대한 정확한 관측값을 기초로 한 것이다. 망원경이 없던 시절에 어떻게 그토록 정확한 관측값을 얻을 수 ... ...
유전자가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21
세기
는 생명공학의 시대라고 말한다. 최근 언론과 방송에서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지는 소식을 보면 이 말을 충분히 실감할 수 있다. 인간게놈프로젝트, 복제, 유전자조작식품과 같은 용어들은 이미 일반인에게 익숙해졌다. 각 주제에 대한 찬반논란 역시 활발하다.하지만 생명공학의 혜택이나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침몰선이 발굴됐다. 함께 인양된 3만여 점의 도자기를 분석한 결과, 이 배는 고려시대 11
세기
중반의 선박으로 해남군 산이면 일대의 가마에서 생산되는 도자기를 가득 싣고 항해하던 중 침몰한 것으로 밝혀졌다. 선체와 함께 인양된 유물은 도자기를 비롯해서 총 3만여 점으로 고려청자가 대부분이며 ... ...
인터넷과 휴대폰 최강국 핀란드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전자결제도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이처럼 핀란드가 세계 정보통신을 선도하며 21
세기
디지털 시대의 성공국가로 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여기에는 핀란드 특유의 지리적 환경과 역사적 배경, 그리고 국가의 정책과 국민들의 열정과 결의가 숨어있다.핀란드의 평균 기온은 여름(7월)이 16 ... ...
고비용 때문에 중단된 초전도 슈퍼가속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연결된다는 점에서 SSC 계획의 중단 소식은 많은 과학자들을 안타깝게 만들었다.20
세기
에는 위와 같은 엄청난 규모의 돈과 시설이 필요한 과학 연구가 많이 생겨났다.이런 고비용과 거대시설의 특성 때문에 '거대과학'(Big Science)이라는 용어가 탄생되기도 했다.이처럼 과학연구에 연구비가 많이 들면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