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때 키옵스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얼마나 줄었는지 살펴봤고, 이 관측 결과로 켈트-11b의 지름이 18만 1600km에 달한다는 걸 알아냈어. 키옵스 프로젝트를 주도한 베른대학교 빌리 벤츠 박사는 “지구에서 잰 것보다 5배는 더 정확한 수치”라고 말했지. 그럼 진짜 탐사에 들어가면 뭘 할 거야?진짜 ... ...
- [3교시 코딩, 메이커편] 코딩과 메이킹으로 과학을 즐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모두 과학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저와 함께 만든 거예요. 전 서울 양진초등학교 6학년 1반 강윤지 선생님이에요.우리 반 과학 수업은 특별해요. 과학 시간에 연소와 소화 단원을 공부한 뒤, ‘마이크로비트’라는 코딩 교구로 화재 신호를 받으면 LED 판에 빛이 들어오는 설치물도 만들었죠.저는 ... ...
- [썰렁홈즈] 꽃집 주인 플라워렌 버핏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시작하거든요. 그러면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태양이 가장 높이 떠 있는 낮 12시 아닐까요?그런데 일정한 장소에서 하루 동안의 기온 변화를 측정해보면, 가장 더운 시간은 오후 2~3시랍니다. 그 이유는 물을 끓일 때 시간이 지나야 온도가 오르는 것처럼, 태양의 복사 에너지에 의해 지표면이 ... ...
- [이달의 과학사] 사상 최대의 지진, 칠레를 휩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1876년, 일본에 초청받은 영국의 지질학자 ‘존 밀른’은 일본의 지진을 연구하기 위해 1년 동안 동료 학자들과 함께 현대적인 지진계를 만들었어요.지진계는 크게 무거운 추가 달린 펜과 종이가 감긴 회전 원통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펜은 원통에 감겨 천천히 돌아가는 종이와 맞닿아 있어요. ... ...
- [변화3] 사람이 없어도 척척! 무인 사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상품을 구매했다는 내용이 뜨질 않았거든요. 괜시리 긴장해 문 앞에서 서성인 채 1~2분이 지나자 스마트폰에 알람이 떴어요. 음료와 화장품이 저장해 놓은 신용 카드로 결제되었다는 문자였지요. 그저 상품을 들고 문을 나왔을 뿐인데, 정확히 들고 나온 상품만 결제되었다는 사실에 내심 놀랐답니다 ... ...
- [만화뉴스] 땅에 사는 곤충들, 사라지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1.08% 늘어나는 것을 알아냈지요.연구팀은 1925년부터 2018년 사이 전 세계 1676개의 지역에서 1만 종의 곤충을 관찰한 자료를 분석했어요. 이처럼 오랜 기간 넓은 지역에서 대규모의 곤충을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지요. 연구팀은 “서식지의 파괴가 육상 곤충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본 ...
- 최강 과학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지금 시작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최강 과학쌤을 소개합니다!Part1. [1교시 개념편] 과학 개념 완성!Part2. [2교시 실험편] 즐거운 실험시간!Part3. [3교시 코딩, 메이커편] 코딩과 메이킹으로 과학을 즐기자! ★도움강윤지(서울 양진초등학교 교사), 김가람(원주 태장중학교 과학 교사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총 에너지가 작은 사탕 하나를 약 30조각으로 쪼개 한 조각만 먹으면 얻을 수 있는 1kcal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지요. 사탕이 우주를 위협할 수는 없을 테니, 미니 빅뱅 역시 인류를 위협한 적이 없답니다. ‘아기 우주’의 기본 입자에서 볼 수 있는 것은?전자와 전자가 서로를 미는 전자기력에는 그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반응은 엇갈린다. 물리학자도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의 난이도 때문이다. 영화 ‘인셉션(2010년)’에서 무의식의 세계를, 영화 ‘인터스텔라(2014년)’로 블랙홀과 우주를 그려낸 놀란 감독은 이번 영화에서 시간과 평행 세계를 이야기했다. ‘테넷’을 정복하고 싶은 과학동아 독자들을 위해 KAIST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