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43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단백질 공급원은 '동물반식물반'?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60%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같은 칼로리를 얻는 데 닭고기는 식물의 7배의
에너지
를 투입해야 한다”며 “더구나 가축은 밀집 사육을 통해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감염병을 확산시키는 역할까지 한다. 시급히 식물로 단백질 공급원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너 대표는 “육식의 ... ...
KAIST 21일 노벨상 수상자 등 초청 이머징 소재 심포지엄
연합뉴스
l
2020.09.18
물질·나노 소재용 물질 대사 시스템', '생체 피부 모방 고분자 전자 재료·디바이스', '
에너지
소재의 연구 동향·미래' 등을 주제로 한 발표가 진행된다. KAIST는 유튜브 중계를 통해 전 세계에서 최소 10만명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행사 총괄을 맡은 김일두 석좌교수는 "재료·화학,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급 전보 △우주기술과장 황성훈 △공공
에너지
조정과장 윤성훈 △과학기술정보과장 김영은 ...
日 후쿠시마 오염수 재정화 착수 해양방출 현실화?...“삼중수소 처리 쉽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주요 핵종마다 권고하는 배출 기준을 두고 있다. 강한
에너지
인 감마선을 내뿜는 세슘-137의 배출기준은 리터당 90배크렐(Bq)이다. 현재 후쿠시마 오염수의 세슘-137 방사능 농도는 리터당 0.0585~829Bq로 나타나고 있다. 저장 탱크에 보관된 오염수마다 방사성 핵종의 ... ...
1조5000억원짜리 중이온가속기 구축사업 또 ‘삐걱’...일정 연장 불가피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난 뒤 일부 동위원소를 모아 고
에너지
가속구간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저
에너지
가속구간 시운전이 늦춰지면 전체 중이온 가속기 구축도 늦어질 수밖에 없다. 2021년 구축 완료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대해 권영관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 부단장은 “설계부터 ... ...
2년간 수심 36m에서 데이터센터 운영했는데 고장률 오히려 '뚝'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확인했다고 밝혔다. 네이틱 노던아일은 재생
에너지
로만 가동됐다. 오크니섬은 유럽해양
에너지
센터의 대규모 풍력과 태양열 단지가 갖춰져 있다. 네이틱 노던아일은 이 전력으로만 운영됐다. 지상에서 운영할 때 냉각수로 필요한 물 자원이 없이도 데이터센터 냉각이 가능했다는 점도 장점이라는 ... ...
폭스콘 "애플 하청업체에서 AI 주도 기업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새로운 도구가 아니라 인간의 사고방식 자체를 바꾸는 도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너지
관리와 산업 자동화에서 대표주자로 꼽히는 프랑스의 슈나이더일렉트릭 뤼크 레몽 수석부회장은 자사의 AI 기술이 세계 각국의 기업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소개했다. 그는 “전 세계 50만 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공식품의 합리적 소비
2020.09.16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
에너지
‧환경‧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 ...
'당신이 구글을 사용하는 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에너지
로 대체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전세계 50여 개 재생
에너지
개발 프로젝트에 70억 달러(8조2574억 원)를 투자하고 있다. 또 인공지능(AI)을 도입해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다. 피차이 CEO는 “지속가능성에 관해 지금까지 시도된 가장 크고 ... ...
휘는 디스플레이 붙이는 신축성 높은 투명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연결하는 점착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동욱
에너지
화학공학과 교수와 이주학 연구원, 김학선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팀이 투명하고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고무줄처럼 형태가 변형된 뒤 곧바로 회복될 수 있는 신축성 접착 소재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