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에너지를 생산하는 ‘밥솥’을 만든다면?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않다. 휘발유, 디젤 등의 기름을 얻는 원유 공정의 경우 이런 증류탑을 운용하는
데
엄청난 에너지가 든다.“원유 증류에 들어가는 에너지가 미국의 화학 산업 에너지의 40%를 차지합니다. 엄청난 양이죠. 그러니 효율을 조금만 높여도 비용을 아주 많이 낮출 수 있습니다 ...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있다는 연구도 있다(이는 남성도 마찬가지라, 남성 호르몬 성분인 테스토스테론운
데
카노에이트를 이용한 남성 피임약이 개발됐지만 임상시험 도중 여성 경구 피임약과 유사한 부작용이 나타나 연구가 중단됐다). 『남성 생식은 기본 메커니즘조차 파악하지 못한 경우가태반이다. 대부분의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항원을 만드는 방식이다. 유정란을 이용하는 방식은 비용이 적게 들지만 백신을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한 경우 백신을 공급할 수 없다. 또 계란의 성분이 백신에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계란에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는 백신을 맞을 수 없다. 세포 배양 방식은 어떤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수 있다. 최근에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스키점프 선수들의 공기저항을 측정하는
데
이용하기도 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더 빠르게 더 폼나게, 수학 입은 슈퍼카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Part 3. 슈퍼카에서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경기수로 나누는 승률과 다릅니다.미국 스포츠 전문 방송 ESPN은 각 팀의 전력을 분석한
데
이터를 토대로 아직 치르지 않은 경기에서 각 팀이 이길 확률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쓰고 있습니다. 미국의 물리학자 아르파드 엘로가 처음 만든 이 알고리즘으로 클리블랜드의 승률처럼 n차전에서 이길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해당하는 숫자를 볼 확률도 같습니다. 굳이 새로운 세계를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그런
데
도 한 세계 해석보다 많은 세계 해석이 더 그럴듯하다고 생각할 까닭이 있을까요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보다 낮을 확률이 각각 4배, 3배에 달했다. 정자의 질이 떨어지는
데
에는 여러 요인이 있는
데
, 만약 그 원인이 Y염색체 미세결실이면 아들에게 100% 유전된다. 영국 에든버러대 생식건강센터 리차드 샤프 교수는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ICSI는 남성 불임을 치료하는 게 아니라 다음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M I T와 보 스턴대 공 동 연 구팀은 머리에 전 극을 붙 여 생 각만으로 로 봇 을 조 종하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실수를 했을 때 100~600ms(ms=1/1000초) 뒤에 나타나는 뇌파(ErrPs)를 이용했어요. 로봇이 물건을 상자에 넣을 때 실험자가 ‘실수다’라고 생각하면 ErrPs가 나와요. 그럼 로봇은 이 뇌파를 ... ...
[과학뉴스] 대장균으로 플라스틱 재료 합성!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들 뿐만 아니라 인체에 해로운 유독성 촉매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
데
연구팀이 개발한 방법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유독성 촉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연구팀은 대장균 외에도 테레프탈산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균주를 찾을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 ...
[과학뉴스] 세포가 물질 이동시키는 새로운 경로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세포 내 물질이동의 문제로 발생하는 질병을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24일자에 실렸다. doi:10.1073/pnas.170103011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