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도
정확성
d라이브러리
"
정확도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물리학자를 만나서 자연과학의 어떤 분야가 가장 공부하기 어려웠는가라고 한번 물어보자. 그러면 거의 틀림없이 생물학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생물학자들은 물리학을 가장 골치 아픈 분야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만큼 두 분야는 사고하는 방식이나 연구의 대상 그리고 탐구 ... ...
바닷물 온도 상승 인간 때문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지난 50년간 해양의 평균 온도가 0.06℃ 상승한 원인이 인간이라는 증거가 컴퓨터 모델을 통해 제시됐다. 미국의 두 연구팀은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4월 13일자 사이언스에 동시에 발표했다.지구 표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해양은 상당한 양의 열을 보유하기 때문에 기후 모델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 ...
무인자동화 현장의 두뇌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첨단산업 현장에 가본 적이 있는가. 반도체나 액정화면(LCD)을 생산하는 공장에는 다양한 로봇과 제조장비들이 복잡하게 뒤섞여 있다. 그런데 이들이 공정에 따라 정확히 제 할 일을 찾아 작업하는 모습은 마치 하나의 완벽한 음악을 들려주기 위해 서로 조화를 이룬 오케스트라단과 같다. 산업 현장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멀고 먼 우주에는 생명체가 있을까. 그리고 인간은 그 우주를 삶의 터전으로 꾸며낼 수 있을까. 영화‘레드 플래닛’은 우주, 그 중에서도 화성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과 동경을 그려낸 작품이다. 지난 4월 14일 오전 11시에 시작한 방담회에는 매스컴에 잘 알려진 한국우주환경과학연구소의 조경철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의 공간을 집어넣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다. 그중에서 가장 쉽게 만들어볼 수 있는 것은 애너글리프다. 애너글리프는 왼쪽에 빨강, 오른쪽에 파랑인 안경을 끼고 보는 입체사진이다. 첨단기술의 집합체인 NASA에서 애너글리프를 이용한다는데….환상적인 화성 사진을 구하고자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두번째 미션. ‘21세기 태양계 바이오 타깃을 탐사하라.’팀 버튼 감독의 영화‘화성 침공’에는 우스꽝스러운 화성인이 등장한다.현재로서는 화성에서 이런 고등 생명체를 기대하기 힘들지만 태양계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그곳은 화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이밖에 태양계에는 생명체나 ... ...
권력자들에게 빼앗긴 서양의 달 이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우리는 달 이름을 밋밋하게 숫자로 부르지만, 영어 이름에는 나름대로 재미난 얘기가 숨어있다. 그 중에는 신의 이름에서 온 것도 있고,로마 권력자를 지칭하던 말이 중간에 끼어든 이름도 있다.이런 이름에서 서양 문화의 켜를 느껴보자.지난 달, 요일 이름 이야기 첫머리에 이렇게 썼던 것을 기억 ... ...
돈 흐름에 감춰진 물리법칙 금융수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요즘 외환위기가 다시 찾아오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의 소리가 높다. 국내 금융산업이 외부의 작은 변화에도 쉽게 흔들릴 정도로 취약하기 때문이다. 금융산업의 상황을 좀더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길은 없을까.돈은 여러 상품의 가치를 비교해줄 수 있고, 상품 ... ...
대입 면접고사 가이드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2002학년도 수시모집에서는 다른 때에 비해 심층면접구술고사의 반영비율이 높다.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한 심층면접. 이번호 과학동아에서는 기존에 출제됐던 주제인 빛의 이중성과 천체의 표면과 대기, 그리고 출제가 예상되는 주제인 유전자의 우열과 확률의 맹점을 다뤘다.1. 유전자의 ... ...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구동장치의 움직임에 마찬가지로 nm 규모의
정확도
가 필요하다.지금까지‘마이크로 전기기계 시스템’(MEMS)기술을 이용해 구동기관을 극히 작게 하려는 노력은 주로 기존의 대형 구동기관을 단순하게 축소 모방하는 방향이었다. 하지만 현재 MEMS 기술을 ... ...
이전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