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08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체 거주 가능 '골디락스' 행성도 행성 나름
연합뉴스
l
2019.11.13
부적합한 조건이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 미국 노스웨스턴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지구
행성과학 조교수 대니얼 호튼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3D 기후변화 모델링과 대기 및 광화학을 처음으로 접목해 M형 왜성 주변 행성의 생명체 거주 가능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적색왜성으로도 ... ...
美 중서부에 농구공만한 유성 떨어져 "보름달보다 밝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속도로 북서쪽으로 113㎞ 날아간 후 19㎞ 상공에서 불타 소멸했다. 유성은
지구
중력으로
지구
에 떨어질 때 대기와 마찰하며 빛을 내며 불탄다. 이번과 같은 작은 크기의 유성은 대부분 대기 중에서 모두 불타 소멸된다. NASA는 “미국해양대기청(NOAA)의 정지궤도 기상관측위성 ‘GOES-16’에 탑재된 ... ...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이 쏘아올린 속도위반 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개리 다 코스타 석좌교수와 세르게이 코포소프 미국 카네기멜론대 교수팀이
지구
에서 2만 9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시속 600만km의 속도로 움직이는 별 S5-HVS1을 발견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팀은 우리은하의 천체 분포를 조사하는 호주와 유럽의 공동연구프로젝트인 ... ...
스페이스X, 로켓 재활용 새 이정표…위성 무더기 발사에 천문학계 갈등 커져
2019.11.12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내용을 일제히 보도했다. 스페이스X는 내년까지 550km의
지구
저궤도에 약 1500여개의 스타링크 군집위성을 발사할 계획을 갖고 있다. 칠레 북부 세로 지역에 구축되는 지름 8.4m의 대형시놉틱관측망원경(LSST)로 관측할 경우 스타링크 위성 중 6~9개는 어두워지기 전과 매일 밤 ... ...
100년에 13번만 펼쳐지는 '수성의 태양면 통과쇼'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통과할 때
지구
내에서 관측 지점에 따라 측정되는 통과 시간이 다르다는 것에 착안해
지구
와 태양까지의 거리를 구했다. 1656년 태어난 핼리는 금성의 태양면 통과 연도가 1761년과 1769년일 것을 예측하고 관측법과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발표해 미래 천문학자들이 대비하게 했다. 이를 토대로 176 ... ...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150주년, 지식의 흐름이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9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끼친 논문 중 하나는 오존층 구멍의 발견이다. 화학, 사회과학,
지구
과학 등 여러 분야 연구가 이 논문을 인용했다. 네이처 150주년 인터랙티브 미디어 설명 동영상: https://youtu.be/GW4s58u8PZo ... ...
화성 분화구 속에 ‘염분 호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9.11.08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연구팀은 NASA의 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보낸 데이터를 바탕으로 황산염의 존재를 확인했다. 사진은 큐리오시티가 화성 ... 호수가 증발해 형성됐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
과학’ 10월 7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61-019-0458- ... ...
NASA, 블랙홀 영상 공개
과학동아
l
2019.11.08
좌우가 비대칭이다. 도플러 효과 때문에
지구
로 향하는 빛은 파장이 길어져 다소 밝게,
지구
에서 멀어지는 빛은 그 반대가 된다. 연구를 주도한 제레미 슈니트만 연구원은 “중력이 시공간의 구조를 왜곡시킨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을 시각화하는 데 이번 시뮬레이션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1160만년 전 유인원 화석에서 직립보행 증거 발견...기존 600만년전 학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않다는 반론도 존재해 학계에서 파장이 예상된다. 마델라이네 뵈메 독일 튀빙겐대
지구
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약 1160만년 전 고대 유인원 화석에서 직립보행의 증거를 확인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6일자에 발표했다. 인류의 직립보행은 인류 진화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 중 ... ...
우주로 간 사람 심장세포…유전자 수천 개 발현 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받는지 현재 분석 중이다. 밸런티나 포사티 뉴욕줄기세포연구재단 책임연구원은 "
지구
와 달리 우주에는 중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세포활성이나 유전자 발현 정도가 달라질 것"이라며 "미세중력 환경에서 신경세포가 받는 영향을 이용해 파킨슨병을 치료할 새로운 방법을 찾을 예정"이라고 ... ...
이전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