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이곳에서만도 일상생활이 가능하죠.겨울에는 350만 명의 몬트리올 인구 중 매일 50만 명이
이용
할 정도로 이미 도시의 중심이 되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Part 3. 지하 도시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우주 정착선은 태양이나 지구 쪽으로 점점 끌려갈 거예요. 인공위성처럼 추진체를
이용
해 궤도를 계속 돌 수도 있지만, 거대한 우주 정착선에는 너무 많은 연료가 필요하죠.그래서 오닐 박사는 가장 적합한 위치로 ‘라그랑주 점’을 제안했어요. 라그랑주 점은 물체가 두 천체 사이에 멈춰 있는 ... ...
[과학뉴스] 록히드마틴, 화성 베이스캠프 제안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지난 3월 21~25일 개최된 48차 달과 행성 학술회의(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LPSC)에서 유인 화성탐사에 필요한 베이스캠프에 대한 자세한 내 ... 나머지 모듈을 조립해 나갈 계획이다. 완성된 화성 바이러스 캠프는 태양전지판을
이용
한 ‘태양전기추진’ 방식으로 화성으로 이동하게 된다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연구팀은 시금치 물관을 통해 혈액도 충분히 순환 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미세구슬을
이용
해 실험한 결과, 지름이 0.01mm인 구슬은 대부분 회수됐다. 지름이 이보다 작은(0.008mm) 적혈구는 충분히 통과할 수 있다.식물의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다는 것도 유리한 점이다. 시금치 잎이 너무 작아 사람 ... ...
[과학뉴스] 고양이 발바닥과 랍스터가 반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과학자들은 앞으로 유럽남방천문대에 있는 256 메가픽셀(메가=100만)의 오메가 캠을
이용
해 더 많은 천체들을 명확하게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직접 만들고 조종해 보는 짜릿함! 나만의 ‘드론’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유지하지 못해 안정적으로 비행하기 어렵답니다. 비법 ➋ 조종기 없이 블루투스를
이용
하자!기자단 친구들이 만든 드론은 조종기가 필요 없어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해 조종할 수 있거든요. ‘블루투스’는 휴대전화, 노트북, 헤드폰 등 다양한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는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시간이렇게 배열하는 법을 일반화한 공식으로 만들어 프로그래밍했다. 컴퓨터를
이용
하자 공의 개수가 많을 때도, 주기가 매우 큰 경우에도 쉽게 경우의 수를 계산할 수 있었다. 최정윤 군은 “버틀러 교수님이 컴퓨터 프로그램 다루는 법과 논문 쓰는 법까지 알려주셨다”고 말했다.연구가 ... ...
[과학뉴스]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팀은 앞으로 DNA뿐만 아니라 다양한 핵산을
이용
해 나노 꽃 입자를 만들어 유전자 치료나 바이오센서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케미스트리 B’ 12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doi:10.1039/c6tb0304 ... ...
[과학뉴스] 꽃가루는 얼마나 날아갈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곰팡이 포자가 좁은 지역에 머문다는 통념이 틀렸음을 입증했다”며 “무인항공기를
이용
한 조기 경보 시스템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3월 16일자에 실렸다. doi:10.1038/srep4453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이렇게 만든 퀀텀닷은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김성지 포스텍 화학과 교수팀은 퀀텀닷을
이용
해서 암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학술지 ‘ACS 나노’ 1월 2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암세포에서 나오는 유기물질과 반응해서 강한 적외선 신호를 내뿜는 퀀텀닷을 만들고 실제로 작동하는 ... ...
이전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