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운석신고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돌을 운석인지 아닌지 정확하게 알려 주는 ‘운석신고센터’에 신고해 보기로 했답니다. 지금 바로 함께 가 볼까요?운석을 신고하라! 운석신고센터‘우리가 가져온 돌이 분명히 운석 맞을 거야!’우리는 두근두근 설레는 마음으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안에 있는 운석센고센터에 도착했어요. 먼저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나인이 아홉 번째 행성의 지위를 받으려면 어떤 특징이 필요할까?행성이 되는 4가지 조건지금까지 태양계의 행성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은 수성과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그리고 해왕성뿐이다. 이들은 모두 항성인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 행성만 태양을 공전하는 건 아니다. 이보다 ... ...
- [과학뉴스] 외계행성 1284개 무더기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방법이 아니라, 통계적인 기법을 적용해 컴퓨터로 대량의 후보군을 분류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케플러우주망원경으로 찾아낸 외계행성의 수(1041개)보다 많은 외계행성을 단번에 가려낼 수 있었다. NASA 본부의 천체물리학분과 책임자 폴 허츠 박사는 “케플러우주망원경으로 알아낸 지식이 인류가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나오면 우주가속팽창을 뒷받침하는 확실한 증거가 될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지금까지의 우주론을 뒤흔드는 일대 혁명이 일어날 것이다.3. 폭발의 초기신호 잡을 수 있을까여태껏 초신성 폭발이나 감마선 폭발을 관측할 때 전자기파는 늘 ‘뒷북’을 쳤다. 그럴수밖에 없는 게, 전자기파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해킹하고 있는 시스템에 지속적으로 전달해 주기 때문이다. 박 대표는 “스파이앱은 지금도 계속 해킹 프로그램이 깔려있는 노트북의 IP로 접속해 가로챈 데이터를 전달해주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IP는 컴퓨터의 주소이며, IP를 알면 두 단말기(PC와 스마트폰)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데 성공했다(2014년 3월 TED 강연). ‘바이옴(BiOM)’이라는 이 최첨단 전자 의족은 지금까지 1000여 명의 절단장애인에게 적용됐다. 에이드리언에게 적용된 무용가 전용 의족의 가격은 25만 달러(약 2억9000만 원)로 알려졌다. 전자 피부청각, 후각, 촉각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돼 있다. 고현협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반응과 연관된 부위이죠.예측 불가능한 간지럼웃음이 나는 간지럼은 촉감이 전부일까요. 지금 실험을 하나 해보죠. 자신의 손으로 자신이 가장 간지럼탈만한 부위를 간질여보세요. 겨드랑이 아래나 발바닥 등 어디든 좋습니다.웃음이 나셨나요?단순히 촉감이 있다는 느낌은 들었을 테지만 웃음은 ...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권영상 미래의 모습이 반영된 겁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미래에는 정보통신기술이 지금보다 더 발달하겠죠? 그럼 굳이 옛날처럼 회사를 가운데 몰아 놓을 필요가 없어요. 과거에 비해 접근성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거죠. 오히려 사람들이 여가를 즐기기 위한 접근성이 더 중요해진 거예요.권영준 ...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있다. 마치 영화 속에서나 있을 법한 이런 이야기는 이미 빅데이터로 현실이 되고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없이 만들어지고 있는 빅데이터를 잘 활용하면 우리 생활에 큰 도움이 된다. 실시간으로 전기 사용량을 확인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도 있고, 작물 데이터를 분석해 농사의 효율성을 높일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알고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는 게 ASA의 입장입니다.과학 연구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지금 당장 재현성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을 겁니다. 이미 2년 전부터 저명한 학술지에서는 재현성 문제를해결하기 위해 여러 지침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는 않습니다. 작은 ... ...
이전3823833843853863873883893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