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하버드 비스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at Harvard University, 아래 사진)’도 바로 이곳 주민입니다.하버드 비스 연구소의 가장
큰
장점은 내로라하는 연구자들과어깨를 나란히 연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소프트 로봇의 성지하버드 비스 연구소는 지난 여름 가오리와 문어 소프트 로봇을 각각 ‘사이언스’와 ‘네이처’에 한 달 간격으로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한반도 내륙이나 백두산 같은 화산까지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거라고 보고 있어요.
큰
지진은 끝났지만, 일본과 에콰도르는 계속 이어지는 여진에 시달리고 있어요. 무너진 도로와 건물을 언제 복구할 수 있을지도 모르고요. ‘불의 고리’에서 계속 이어지는 지진이 빨리 끝나길, 지진으로 인해 고통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iOS 등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컴퓨터 운영체제에서 다 사용된답니다.C언어의 가장
큰
특징은 기계어에 가깝다는 점이에요. 코드 구성 방법이 간단해서 프로그래머들이 쉽게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지요. 예를 들어 C언어에는 ‘A의 조건이 맞는지 판단하라’는 명령어와 ‘조건이 맞으면 ... ...
[과학뉴스] 새로운 공룡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무사키오이’라는 이름을 붙였답니다.사르미엔토사우루스는 몸집이 매우
큰
초식공룡인 티타노사우루스류에 속해요. 연구팀이 발견한 화석은 사르미엔토사우루스의 온전한 머리뼈와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목뼈였지요. 티타노사우루스류의 화석이 발견되는 일은 드문 편으로, 특히 온전한 형태의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폭발하는가 하면, 땅이 부딪히며 지진도 자주 발생하지요.불의 고리는 지구에서 가장
큰
태평양판과 그 가장자리의 작은 판들이 다른 판과 부딪히고 있는 지역이에요. 아시아의 동쪽과 아메리카의 서쪽을 따라 둥그런 모양을 이루고 있지요.이 지역에 특히 지진과 화산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 ...
[소프트웨어]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지~ 착시 퍼즐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14년 각종 게임상을 휩쓴 ‘모뉴먼트 밸리’예요. 주인공인 아이다 공주는 성물을 훔치는
큰
죄를 지었어요. 다행히 잘못을 깨닫고 성물을 제자리에 돌려놓기 위한 여행을 떠나면서 게임이 시작돼요.아이다 공주가 여행하는 방법은 간단해요. 원하는 곳을 터치하면 아이다 공주가 그리로 움직입니다. ... ...
[과학뉴스] 책을 펼치지 않고도 읽는 ‘독책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이 책을 펼치지 않고도 책 속 내용을 읽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월 9일자에 발표했다.MIT 미디어랩 바르막 ... 손을 대지 않고 내용을 알아내고 싶다며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이 기술에
큰
관심을 보였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내보냈다. 몸집이
큰
육식성 물고기일수록 인을 더 많이 배출했다.알제이어 교수는 “
큰
물고기를 잡는 지금의 어업활동은 바다 생태계에 꼭 필요한 영양소를 없애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8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큰
사람과 짱구처럼 뒷머리만
큰
사람 중 누가 더 똑똑할까. 이건 우문이다. 지능은 머리 크기나 모양보다는 뇌 주름과 관련 있다. 그렇다면 뇌 주름이 많을수록 똑똑할까? 놀랍게도 그것도 아니다. 오히려 조현병 환자가 정상인보다 뇌 주름이 훨씬 많다. 지나치게 많은 주름은 병과 관련이 있을 수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뿐이다. 그 외에도 얼마나 다양한 천문학적 조건이 맞아야 할지, 조건이 맞더라도 얼마나
큰
확률로 실제 생명의 진화가 일어날지는 알 수 없다. 결국 우리가 외계인을 직접 발견하기 전까지는 실제 외계문명의 분포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몇 가지 사고실험을 할 수는 있다. 모든 골디락스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