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7,019건 검색되었습니다.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12
교수 연구팀은 사람이 기른 늑대와 태어난지 불과 몇달 지나지 않은 강아지를 대상으로
실험
을 했다. 음식물을 숨겨놓고 눈짓, 손짓, 살짝 건드리기 등의 힌트를 줬다. 그 결과 사람과 거의 접촉하지 않은 강아지가 사람이 기른 늑대보다 오히려 사람의 말을 더 잘 알아들었다. 즉 가축화의 긴 여정을 ... ...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12
만한 또다른 프로젝트는 조류와 바람 등 자연동력만을 이용해 전세계 바다를 누비며 해양
실험
을수행하는‘시오비터 계획’. 빠르면 2005년에 시작될이 계획에는 프랑스, 일본, 노르웨이 등 해양 선진국들의 과학기술자들이 대거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12
자극성 있는 고추가 실제로 위점막을 손상시키는지를 보기 위해서다. 놀랍게도
실험
대상자의 위에서는 아무런 손상도 관찰되지 않았다.“고추를 먹는 것은 다른 음식을 먹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만일 먹어서 위가 불편하면 삼가면 되고 별 탈이 없으면 먹고싶은 대로 즐겨라.” 그 자신이 고추 ... ...
믿음은 호르몬 현상
과학동아
l
200312
박사팀은 믿음이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과 관계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실험
에 자원한 학생들을 두명씩 짝지워 단순한 게임을 시켰다. 먼저 두학생에게 모두 10달러를 보여줬다. 학생 A는 학생 B에게 10달러를 모두 줄 수도 있고 그 중 일부를 줄 수도 있다.선택은 A에게 달려있다. A가 ... ...
비행기 1백년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312
미국에서는 초음속 영역에서 비행기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로켓엔진을 장착한
실험
용 비행기 X-1을 제작했다. 1947년 10월 14일 미 공군 시험비행사인 척 예거는 B-29에서 분리된 X-1을 이용해서 마하 1.06(음속의 1.06배)으로 비행함으로 음속을 돌파한 비행에 성공했다.이런 연구를 통해 초음속 ... ...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12
문장들을 만들거나 이해할 수 없다는 믿음이 깔려 있다. 과연 그럴까. 미 펜실베이니아대
실험
심리학자 데이비드 프리맥은 암컷 침팬지 새라에게 플라스틱 딱지를 사용해 기호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훈련시켰다. 예컨대 ‘갈색을 띤 초콜릿’이라는 어구의 단어들을 각각 딱지로 만들어 ... ...
2 소음 제로, 바퀴 없이 떠간다
과학동아
l
200312
Transport)다.이후 나리타공항 노선은 취소됐지만 이 모델은 그동안 7단계의 차량 제작,
실험
을 거쳤다. 결국 2005년 나고야 노선(9km)에서 상용화된다.우리나라는 1989년 12월 과학기술부 국책연구로 개발에 착수해 독자적인 자기부상열차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기본 방식은 흡인식인 일본의 HSST-03∼05 ... ...
옛 소련 비밀 기술이 숙취를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0312
AK-9는 상업화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1997년 러시아 과학연구소와 의학아카데미의 임상
실험
을 차례로 통과한데 이어 국내 출시를 앞두고 현재 식품의약국안전청의 승인과 특허 출원이 진행 중이다. 분말 형태로 판매하고 있는 러시아와 달리 국내에선 한국인의 입맛에 맞춰 음료 형태로 판매될 ... ...
통증에 대한 뇌 반응 남녀 달라
과학동아
l
200312
여성환자 26명과 남성환자 24명을 대상으로 복통이 나타날 때 뇌의 반응을 관찰하는
실험
을 실시했다.
실험
결과 남녀가 통증에 대해 같은 반응을 보이는 뇌 부위들도 있었지만 여성은 특히 감정중추인 변연계에서, 남성은 분석중추인 인식기능 부위에서 각각 활발한 반응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12
숨어버린다.중부지방 휘파람새의 소리는 남부지방 휘파람새에게는 사투리다. 하지만
실험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먼 거리에서 오랫동안 떨어져 살아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서울말을 쓰는 사람과 사투리를 쓰는 사람이 통역 없이도 말이 통하는 것처럼 말이다.조류는 인간처럼 다양한 언어를 갖고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