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개미 같은 주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물질을 바탕으로 3-4시간의 관찰을 해보는
자리
였다.앞으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소는 과학기술부의 지원을 받아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시세계 교육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또한 오는 11월에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전자현미경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어찌보면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인간보다 뛰어난 능력을 가진 로봇에게 지배당할지도 모른다는 추측에 있다.“로봇과 잠
자리
를 하게 되면 보통 남자들이 시시하게 느껴질 거야”라는 대사에서 스필버그 감독은(또는 큐브릭 감독) 남녀 간의 사랑마저 로봇이 대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코믹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영화에서 무엇보다 ... ...
하나의 은하가 여섯개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목동
자리
에서 발견된 중력렌즈는 지구로부터 11억광년 떨어져 있다. 이번 관측에서 목동
자리
은하 3개가 이루는 삼각형의 외부에 4개, 내부에 2개의 천체 모습이 보인다. 실제 이 천체는 중력렌즈보다 7억광년 더 떨어진 곳에 있는 하나의 은하다.중력렌즈는 우주에서 질량이 어떻게 분포하는지 에 ... ...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열 때문이다.숨은 열의 방출로 인해 적란운 안에서 공기가 상승하면 주변의 공기는 그
자리
를 채우기 위해 마치 진공청소기에 빨려드는 것처럼 적란운 안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층의 바람이 하층의 바람보다 강할 경우 상층의 모멘텀이 밑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대기의 하층에 회전이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어렴풋이 짐작합니다.당신은 어디에 계시나요?은하수의 무수한 별들이제각기 자기
자리
에서 반짝이는 건당신이 여기 있기 때문인가요?당신은 보이지 않지만당신의 증거는 우주에 남아이 작은 가슴을 설레게 합니다.확신은 할 수 없지만당신의 모습은 이 영롱한 결정 속에서반짝이는 빛으로 다가올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수준에서 57%가 멸종했다. 캄브리아기와 오르도비스기에 바다의 주인이었던 삼엽충은 그
자리
를 다른 생물에게 물려줬다. 원시적인 초기 형태의 극피동물도 거의 사라졌다. 그리고 오르도비스기에 들어와서 번성하기 시작한 완족동물과 태선동물도 50% 이상이 타격을 받았다. 벌집산호와 사슬산호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혜성 궤도에 남아있던 부스러기는 또하나의 멋진 광경을 선물한다. 혜성이 지나간
자리
를 지구가 통과하면서 혜성 부스러기는 밤하늘에 유성이 돼 쏟아져내린다. 이렇듯 혜성은 멋진 꼬리와 유성우라는 두가지 우주쇼를 보여준다.혜성은 크게 핵과 코마, 꼬리로 나뉜다. 핵은 지름이 수km 정도로 ... ...
식물에 빗댄 속담풀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공급한다. 쑥은 스스로 만든 환경에서는 결국 오래 버티지 못하고 다른 식물들에게
자리
를 내어주는 특성이 있다. 건조하고 척박한 땅이 쑥대밭이 된 후에 새로운 세상으로의 변화를 꿈꿀 수 있는 것이다. 폐허 후 희망을 꿈꾸는 것은 바로 이런 쑥의 역할을 기대하기 때문일까.딸을 낳으면 오동나무 ... ...
① 철통 경계 미국 본토가 뚫린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검열에 걸리지 않고 여객기에 몸을 실었고 조종석에 가까운
자리
에서 조종사를 무기로 위협해 의도대로 항공기를 납치했다. 그렇다 해도 어떻게 뉴욕의 국제무역센터와 워싱턴의 펜타곤으로 향해 돌진하는 ‘자살 비행기’를 그대로 두었을까. 한마디로 미국 방공망이 뚫렸던 것이다.보통 서울의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생물학과 교수 헬렌 한스마가 그 주인공.한스마 부부는 1997년 미국 물리학회 정기모임
자리
에서 SPM을 이용해 나노세계에서 벌어지는 생명현상을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은 DNA에서 mRNA가 만들어지는 10여분간의 전사과정이었다.DNA는 모든 생명체의 생명현상을 유지시키는 단백질 합성에 관한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