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우리가 알고 있는 음악에 관한 관념을 통쾌하게 깨뜨린 아티스트들이 있다. 이들은 작곡가지만 화성학이 아닌 수학을 공부한다. 연주자지만 악기를 연주하는 대신 컴퓨터에 앉아 코딩을 한다. 컴퓨터가 만들어낸 소리가 가슴을 울릴 때, 이들은 “음악을 발견했다”고 말한다. 음악 자체가 아닌 ... ...
- [Hot Issue] 따뜻한 마음이 부른 폭력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타인의 아픔을 무시하고, 누군가를 조롱하는 사건사고가 터질 때마다 ‘공감 능력의 부재’가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4월 팽목항 앞바다에서 꽃다운 나이에 목숨을 잃은 아이들 앞에 일부 언론과 네티즌들이 그러했다. 우리는 이렇게 폭력을 행사하고 비인간적인 말을 내뱉은 사람은 피도 눈물도 ... ...
- 얼음낚시의 달인 ‘미끼로 다나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얼음 사이로~ 썰매를 타고~♪ 낚시하는 기분~ 상쾌도 하다~♬”추운 겨울이라 방안에 틀어박혀 꼼짝 안 하던 썰렁홈즈가 웬일로 칼바람을 뚫고 길을 나섰다.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얼음낚시의 달인들이 참여하는 낚시대회가 열리기 때문이다.“음하하하! 이 썰렁홈즈 님의 낚시 솜씨를 뽐낼 때가 ... ...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3월 5일은 세계적인 수학자이자 프랑스 지성의 상징으로 존경받는 로랑 슈와르츠(1915~2002)의 탄생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그는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하는 이론을 발표해 1950년 프랑스인으로는 처음 필즈상을 받았고, 프랑스 식민지였던 알제리와 베트남의 독립을 지원하며 식민지 국민들의 인권 운 ... ...
- [생활] 수학을 알면 야구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따스한 봄과 함께 프로야구가 돌아왔다. 봄이 오면 동물들이 오랜 겨울잠에서 깨어나듯, 잠들어 있던 야구팬의 소원도 깨어난다. 밥 먹듯 우승을 하는 팀의 팬이건 오랫동안 하위권에 머물던 팀의 팬이건, 그들의 꿈은 영원히 하나다. 바로 ‘우승’이다.하지만 모두가 그 꿈을 이룰 수는 없다. 영 ...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남자는 액체 표면에 레이저를 쐈다. 액체가 얇은 동전 모양으로 굳었다. 딱딱히 굳은 층을 1mm 아래로 내린 뒤, 또 다시 액체를 채우고 레이저를 쐈다. 이번엔 조금 더 큰 원형으로 굳혔다. 이 과정을 수십 번 반복한 끝에 그는 작은 푸른색 컵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3D 프린터로 만든 세계 최초의 물 ... ...
- PART1. 고교생 100명이 묻고, 공대생이 답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Q1 공대는 정말 ‘남탕’인가요?저희 학번 기준으로는 5:1 정도였습니다. 매년 여성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지만 아직까진 한 여학생이 남학생 3명의 짝사랑을 받는 게 정설입니다. 일처다부제라고 하죠. 물론 학과마다 성비차이가 커요. 생명공학과 같은 경우는 1:1에 수렴해 ‘꽃밭 생명’이라는 ... ...
- [Photo] 외로운 왕, 늑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태초에 왕이 있었다. 대륙을 발 아래에 둔 채 산하를 누비고, 생명이 있는 것들을 두루 다스리는 생태계의 왕이었다. 서슬이 퍼런 무서운 지배자였지만 한편 뭇 생명 다스리기를 초봄의 살얼음 다루듯 하는 어진 통치자기도 했다. 왕이 다스리는 나라는 균형이 잘 잡혀 있었고 살기에 좋았다. 왕의 ... ...
- 세계 최초 로봇 호텔, 일본에서 오픈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로봇과 함께 사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는 걸까. 영국 일간지 텔레그라프는 일본 나가사키현 소재 테마파크인 하우스텐보스에 로봇 직원이 활약하는 ‘헨나(Henn-na) 호텔’이 올 여름 문을 열 예정이라고 2월 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일본어로 ‘이상한’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 호텔은 인간형 안 ...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예술이란 무엇일까. 손을 이용해 의도적으로 대상에 흔적을 남기는 것을 예술의 정의라고 한다면, 자연이 만든 돌멩이인 이 작품은 결코 예술의 범주에 들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인류가 ‘미’를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그것을 수집했다면?남아프리카공화국 마카판스가트 지역의 300만 년 전 지 ... ...
이전3853863873883893903913923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