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쥐라기 공룡, DNA 조작으로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개체의 독특한 정보를 발현시키는 과정이 있다는 것이다.다시 영화 속으로 돌아가
보자
. 해먼드 박사는 공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먼저 공룡의 DNA를 분리 증폭 교정하고 악어알을 이용해 공룡 DNA를 발현시키고자 하였다. 따라서 가장 기초가 되는 전제는 어떻게 공룡의 DNA를 얻을 수 있는가 하는 ... ...
실수로 태어난 대히트 발명품들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이들 발명은 대부분이 생활주변의 간단한 아이디어에서 탄생되고 있음을 생각해
보자
.작은 아이디어도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산업재산권 중 실용신안(기존 발명품의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개선한 고안)이나 의장(기존 발명품의 모양을 보다 아름답게 디자인한 고안)으로 특허청에 출원해 ... ...
에러난 파일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고치는 법 정도는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밑져봐야 본전이니까.때로 컴퓨터 초
보자
중에는 진짜 멀쩡한 디스켓을 망가졌다고 걱정하기도 한다. 포맷도 하지 않은 디스켓에 파일을 저장하려고 할 때나 디스크 드라이브에 디스켓을 거꾸로 넣었을 때 등이 대표적인 경우다. 또 어린아이들이 ... ...
20세기 천문학의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왜 우리 민족은 조그만 주택을 짓든 빌딩을 짓든 돼지머리를 놓고 고사를 지낼까 생각해
보자
. 비가 안 온다고 장관이 돼지머리에 절을 하는 장면이 TV에 왜 나오는가. 우리 민족이 미개하기 때문인가? 그렇지 않다. 이는 뿌리 깊은 우리 민족의 제천행사가 남아 있는 것이다. 한민족은 하늘에 빌지 ... ...
은가루 속의 짝별 알비레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은하수를 여행해
보자
. 8월 12, 13일에는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맞이하며 소원을 빌어
보자
.별들은 마치 하늘에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모두 거리가 다르다. 천체의 거리를 재는데는 몇가지 방법이 있는데, 대개 1년 이상의 시간과 정밀한 관측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 ...
화학- 한여름밤 수놓는 환상의 불꽃놀이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화약을 만들어 직접 불꽃놀이를 준비해
보자
. 화학물질에 따라 불꽃의 세기와 색깔이 달라진다.8월의 무더위를 잊기 위해 산으로 바다로 피서를 많이 갑니다. 피서지에서 밤이 되면 유흥의 기분도 살릴 겸해서 불꽃놀이를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되지요.이번 실험은 이 불꽃놀이에 이용되는 화약의 ... ...
1. CT·암치료·비파괴검사에 이용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X선 생성과정을 근거로 우리 주변에 어떻게 X선이 활용돼 왔는지 자세히 살펴
보자
. 우선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의학진단용. 일생 동안 X선 사진 한번 안찍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X선 사진은 널리 쓰이고 있다. "X선만큼 의학 발달에 기여한 진단 기술은 없다"는 말을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X선 ... ...
부팅 안되는 컴퓨터 처리는 이렇게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있어야만 한다. 이 파일들과 긴요하게 쓰이는 몇 가지 파일들을 플로피디스켓에 준비시켜
보자
. 하드디스크의 도스디렉토리에 있는 이 파일들을 플로피디스켓에 복사해 놓으면 될 것이다. 그런데 이 파일들은 시스템 파일들이라고 특별대우를 하는 것인지 command.corn을 제외한 나머지 두개는 보이지도 ... ...
독수리 주변의 5형제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날려보낸 것이다. 모기약을 노출 부위에 고루 바른 다음 편한 차림으로 밖에 나서
보자
. 7월 저녁 동쪽 하늘을 보면 3개의 밝은 별을 찾을 수 있다. 우리는 이 세별이 천구에서 거대한 삼각형을 이룬다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그래서 이것을 '여름의 대삼각형'이라고 부른다.세 별 가운데 지평선에 ... ...
2. 음극선에서 방사선까지, X선 탄생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음극선 발견에서 출발, 방사선의 등장까지 숨가쁘게 이어지는 X선 탄생드라마를 추적해
보자
.20세기 과학에 대한 시대 구분을 할 때 대부분의 과학사가들은 1895년을 그 기점으로 잡는다. 1895년은 독일의 과학자 뢴트겐이 X선이라는 새로운 종류의 광선을 발견한 해였다. 뢴트겐이 이 새로운 광선을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