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금성"(으)로 총 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은가루 속의 짝별 알비레오과학동아 l1995년 08호
- 년의 극대치를 고비로 시간당 출현개수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생각된다.21일 금성의 외합별을 찾아 떠나는 관측여행오랜 장마가 끝나고 마지막 불볕 더위가 시작되는 8월 초순. 찌들었던 마음일랑 훌훌 털어버리고 맑고 깨끗한 별을 보러 떠납시다. 장소는 변산 반도, 조각가 김오성씨의 ... ...
- 한국말로 지은 화성 금성 지명과학동아 l1995년 08호
- 계곡(Large valleys) : 화성과 달을 뜻하는 세계 각국의 말작은 계곡(Small valleys) : 지구상의 강금성대협곡(Canyons) : 사냥의 여신, 달의 여신코로나(Coronae) : 풍요의 여신분화구(Craters) : 유명한 여성 위인능선(Ridges) : 하늘의 여신용암이 흐른 지역(Flow terrains) : 여신직선 ...
- 1 TV난시청지역 완전해소과학동아 l1995년 08호
- 미국의 록히드 마틴사에서 주로 제작했는데, 이 사업에 참여한 국내 업체는 금성정보통신(중계기의 일부 품목) 대한항공(위성체 구조물 및 태양전지판 구조품) 한라중공업(위성체와 발사체 결합장치) 등이다.앞으로 차세대 위성사업은 국내업자가 주계약자가 되어 국내 기술진들이 설계하고 조립할 ... ...
- 인공위성 실패확률 어느 정도인가과학동아 l1995년 08호
- 2백회 이상 인공 위성을 발사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우주 정거장 살류트와 미르를 비롯 금성탐사선 베네라, 화성탐사선 포보스, 핼리혜성탐사선 베가 등을 쏘아올린 백전노장. 하지만 프로톤 또한 상업용위성을 위해 개발됐다기 보다는 우주정거장에 대형 화물을 실어나르기 위해 설계됐기 때문에 ... ...
- MPEG 보드과학동아 l1995년 08호
- 드라이브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보통 AT버스 방식 중 현재 많이 시판되고 있는 금성, 마쓰시타, 소니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편리하다. 만일 브랜드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제품을 선택할 경우에는 '비디오CD' 혹은 'CD-ROM/XA Mode 2 Form 2지원'이라고 씌어져 있는 제품을 선택하면 된다.메인보드에 ... ...
- 지구 대기 중 산소, 고생대에는 35%나 됐다과학동아 l1995년 07호
- 대기중에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 천체는 몇 안된다. 지구의 21%, 화성의 0.13%, 금성의 1만분의 1% 이하 외에 최근 목성의 위성 에우로파에도 지구대기로 환산해 1천억분의 1기압에 상당하는 미량의 산소가 있음이 발견됐다.그러나 지구의 산소가 줄곧 21%였던 것은 아니다.생물이 크게 진화했던 ... ...
- 밤하늘의 보석상자 궁수자리 은하수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천문대에서 촬영한 전갈자리 사진이다. 새벽 여명에 실루엣으로 나타난 돔은 3.9m AAT이고 금성 목성이 함께 보인다.한편 전갈의 심장에 활시위를 당기고 있는 반인반마의 별자리는 궁수자리다. 이것은 흔히 찻주전자(teapot)라고 불리는데 납작한 주전자 형상을 하고 있다. 손잡이 윗별엔 눈키(Nunki)라는 ...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과학동아 l1995년 06호
- 금성의 위치를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위치를 주의깊게 관찰하여야만 금성을 찾아낼 수 있다. 따라서 태백주현 기록이 있다는 사실은 이 시기에 고도의 관측기술을 지닌 천문학자들이 있었으며, 이미 장기간 관측자료가 누적되어 있었음을 뜻한다.고대 사서에 실린 천문현상 기록들을 ... ...
- 태양계 환상여행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일주한다는 사실을 알았다.금성이 초승달처럼 보이는 것은, 잘 알려져 있듯 내행성인 금성이 지구 안쪽궤도를 공전하면서 일으키는 위상변화 때문. 사진에 나타난 분홍색은 구름의 색대비를 강조하기 위해서 화상처리한 결과이다. 화성의 봄여태까지 화성 탐사선에서 촬영한 사진을 제외하고는 ...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있다. 이 계산대로라면 태양계내에서는 지구밖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이 없다(금성 0.72AU, 화성 1.52AU).태양계 전체의 크기가 40AU이므로 앞에서 이야기한 0.85-1.05AU의 범위를 확률화하면 1/200 정도. 그러나 행성은 주로 별 주위에 많이 생기므로 이 수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태양계만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