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3년 11호
수학동아>를 보고 있는 친구라면 수학에 흥미도 있고 계속 공부하고 싶은 친구가 많을 텐
데
요. 수학이라는 분야는 너무 광활해서 공부하다 보면 이 길이 맞는지 고민하는 때가 찾아올 거예요. 하지만 자리를 지키고 계속하다 보면 자신이 수학의 어떤 면을 좋아하는지 진정으로 발견하는 날이 와요.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의미다. 연구팀은 단일 원자 전자스핀 플랫폼을 활용해 큐비트를 원격으로 조정하는
데
도 성공했다. 산화마그네슘 표면 위 여러 타이타늄 원자들을 주사터널링현미경(STM)의 탐침을 사용해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특수한 원자 구조로 만들었다. 그리고 원자들끼리 스핀 상태가 상호작용하는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4시간에 걸친 인터뷰를 노벨상 이야기로 매듭지었다. “일본에 노벨상 수상자가 많은
데
우리나라는 왜 없냐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죠. 하지만 일본은 사실 이그노벨상에서도 앞서 있습니다. 올해까지 17년 연속으로 이그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어요. 저는 그렇게 다양하고 엉뚱한 연구를 용인해주는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급격히 발전한 생성형 AI 기술이 언어장벽을 해결할 수 있다”며 “각 나라의 언어를
데
이터화 해 자동번역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질량이 더 크고 더 빨리 진화한 별은 온도가 미지근해지고, 팽창하며 더 밝아진다. 그런
데
이번 에렌델 관측을 가장 잘 설명하는 모델은, 쌍성의 두 별이 표면온도는 많이 달라도 밝기가 비슷하다. 이것은 우리은하 주변의 쌍성과 크게 다른 점이다. 또한 이 연구가 쌍성을 이룬 각 별에 대한 ... ...
[논문탐독] 생명현상의 실타래에서 찾아낸 맞춤형 암 치료의 실마리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맞춤형 치료의 연구도 더욱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관련 과학 기술과 정보기술(IT)의
데
이터 처리 능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어서, 앞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는 더 크게 발전하리라 기대합니다.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 사회가 오랜 숙원이었던 암 정복에 성공하길 바랍니다. ❋필자소개채수연. ... ...
[과학뉴스] 수명을 다한 별, 행성을 집어삼키는 중!?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1호
포착했어요. 연구팀은 폭발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낮은 온도의 우주를 관측하는
데
사용되는 적외선카메라의 관측 자료를 살폈어요. 분석 결과, 폭발이 발생한 이후 별에서 매우 적은 양의 에너지만 방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관측한 폭발이 두 개의 별이 서로 충돌해 발생한 ... ...
[가상 인터뷰] 초파리 장 세포에서 새로운 세포 소기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1호
발견했다고 발표했어. 인산염? 그게 뭐야? 인산염은 동식물의 세포가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어. 하지만 정확한 원리는 밝혀지지 않았지. 연구팀은 초파리에게 세포가 인산염을 흡수하는 것을 막는 물질인 포스포노포름산(PFA)을 먹인 후 초파리의 장 세포의 변화를 관찰했어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1호
데
필요한 유기 분자가 분출되는 것을 확인했죠. 최근에는 NASA에서 보이저 탐사선의
데
이터를 재분석해 천왕성 위성인 우라노스의 내부에도 바다가 있을 거라는 연구를 발표했답니다. 용어 설명*열수구 : 심해저에서 뜨거운 물이 분출되는 구멍 ... ...
정부 발표부터 9월 모의평가 결과 분석까지, 킬러문항 논란 일지
수학동아
l
2023년 11호
도구로 쓰이고 있다는 비판도 나와요. 킬러문항 논의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의미인
데
요. 킬러문항이 사라질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가 여기 있어요. 지금부터 조금 더 깊이 들어가 알아볼게요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